사회 전국

울산 '겨울비 경제학'

최근 잦은비로 회야댐 저수율 97%

낙동강 원수 안써도 돼 65억 절감

울산시가 올해 풍부한 비로 내년에 낙동강 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돼 약 65억원 가량을 절감할 전망이다.

울산 상수도사업본부는 28일 최근 잦은 비로 상수원인 회야댐과 대곡댐 물이 만수위에 가까이 도달해 내년 3월까지 낙동강 원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기준 회야댐 상류에 113㎜의 비가 내리는 등 현재까지 지속된 비로 1,727만톤(저수율 97.5%)의 저수량을 확보했으며, 대곡댐은 2,417만톤(저수율 87%)의 물이 찼다. 이 물로 갈수기인 겨울을 보내면 내년 4월 이후에는 봄비가 내려 1년 내내 자체 원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012년 잦은 비로 평년의 30%만 낙동강 물을 사용한 적이 있지만, 1년 내내 자체 원수로 식수를 감당한 건 통계를 낸 10년 동안 처음이 될 전망이다.


울산시는 지난 1994년 12월부터 낙동강 원수를 회야댐으로 끌어와 부족한 식수를 대체하고 있다. 연평균 수돗물 공급량의 13%인 1,600만톤 정도를 낙동강 물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매년 65억원 가량을 수자원공사에 원수대금(233.7원/㎥)과 물 이용 부담금(170원/㎥)으로 내왔다.

관련기사



울산시의 식수부족 현상은 인구와 비해 상수원이 적기 때문이다. 특히 대곡댐은 반구대암각화 문제가 걸려있어 새 상수원 개발이 시급하다. 울산시는 인근 경북 청도의 운문댐 물을 끌어다 쓰길 원하지만, 대구경북권 맑은 물 공급사업과 엮이면서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내년은 갈수기인 겨울을 넘기고 나면 다시 봄비가 내리면서 1년 내내 청정원수가 가능할 것 같다”며 “겨울에 내리는 비는 우리에겐 돈이다”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