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울산서 의심사례 발생, CID 의심화자 '인간광우병'과 무관하다 결론

울산에서 CJD 의심사례가 발생했으나 질본이 흔히 ‘인간광우병’으로 불리는 변종성과 관계가 없다고 발표했다.

4일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는 울산에서 신고된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의심환자는 ‘인간광우병’과 무관하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13일 서울의 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울산의 40대 교직원 A씨가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의심환자로 보인다는 신고가 환자의 주소지인 울산시와 질병관리본부에 접수된 바 있다. 이 환자는 신경과 뇌파검사 중 CJD 의심사례로 분류됐다.


CJD는 광우병을 유발하는 인자인 프리온 질환으로 뇌에 구멍이 뚫려 뇌기능을 잃게 되는데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나면 1~2년 안에 사망하게 된다. 증상이 나타난 후에는 별다른 치료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관련기사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역학조사 결과 “이 환자는 ‘인간 광우병’으로 불리는 변형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과 관련이 없으며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sCJD)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CJD는 변형(일명 인간광우병), 산발성, 가족성, 의인성 등 4가지로 구분되는데 산발성 CJD는 전체의 85%를 차지해 가장 흔한 것.

한편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산발성 CJD는 계속 발생해왔으며 CJD는 수혈이나 장기이식이 아니면 전염성이 없다”며 “인간광우병이 아닌 만큼 불필요한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전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