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안승권 LG전자 CTO "가전에 AI 접목, 아마존·구글과 협업해 더 나은 삶 제공"

LG전자가 가전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더하고 아마존·구글 등 정보기술(ICT) 업체들과의 협업을 강화해 고객 삶을 한차원 높혀 나간다. 벽지 같이 얇은 올레드TV W와 로봇 제품군으로 시장 선도에 나섰다.

LG전자는4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호텔에서 글로벌 프레스 컨퍼런스를 열고 올해 전략제품을 공개했다. 행사에는 1,000여명의 국내외 기자들이 참석했다.


첫 연설자로 나선 안승권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앞세워 LG만의 차별화된 혁신 기술로 고객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안 사장은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파트너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IoT 표준화 연합체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이사회에 합류하는 등 기술 표준 관련한 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이날 전략 제품군도 선보였다. 새로운 폼팩터의 올레드 TV, 더 편리하고 스마트해진 가전, 다양한 로봇 제품군 등을 소개했다.

가장 눈길을 끈 제품은 올레드 TV W‘였다. 벽지 같이 얇은 3.8mm의 두께에 벽에 걸면 TV라기 보다는 그림 같은 느낌을 주는 혁신 TV였다. 스스로 빛을 내는 올레드의 특성을 반영해 얇은 두께를 완성했다. 화면 이외의 요소를 철저히 배제한 미니멀리즘 디자인도 특징이다. 올레드 TV W는 5개 시리즈 10종(77/65W7, 77/65G7, 65/55E7, 65/55C7, 65/55B7)을 선보였다. LG전자는 또 독자 개발한 ‘나노셀’ 기술을 탑재해 색정확도와 색재현력을 높인 슈퍼 울트라HD TV도 공개했다. 화면을 정면이나 측면에서 보더라도 색재현력과 색정확도의 변화가 거의 없어 넓은 공간에서 여러 명이 TV를 보더라도 동일한 화질을 느낄 수 있다. LG전자는 이외에도 TV 업계 최초로 돌비 에트모스(Atmos)를 올레드TV에 모두 적용한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스마트 냉장고도 공개했다. 독자 운영체제(OS)인 웹OS를 탑재했다. 스마트 TV에 주로 탑재해 왔던 웹OS를 생활가전에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상단 냉장실 오른쪽 문의 투명 매직스페이스에 풀HD급 29인치 LCD 터치 디스플레이를 더했다. 스마트 태그 기능을 이용하면 투명한 창을 통해 보관중인 식품을 보면서 디스플레이를 터치해 유통기한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관련기사



LG전자는 이 제품을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회사 미국 아마존의 인공지능 음성서비스 ‘알렉사(Alexa)’와 연동한다. 요리를 하고 있는 사용자가 ‘알렉사’의 음성 명령을 이용해 음악 재생, 뉴스 검색, 온라인 쇼핑, 일정 확인 등이 가능해 편리하다. 생활가전에서 아마존과 협업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습관, 제품이 사용되는 주변 환경 등을 스스로 학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기능을 제공하는 에어컨, 로봇청소기 등 딥 러닝 기반의 ‘딥 씽큐’ 스마트 가전도 공개했다. 다양한 센서와 와이파이를 통해 클라우드에 축적되는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주변 환경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스스로 작동한다.

LG전자는 로봇 제품군을 선보이며 가전제품의 영역 확대에도 나섰다. 2003년부터 시작한 로봇 청소기 사업을 통해 확보해 온 딥 러닝 기술, 자율 주행 기술, 제어 기술,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앞세워 로봇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허브(Hub) 로봇과 잔디깎기 로봇 등 가정용 로봇을 비롯해 공항 이용객을 위한 공항용 로봇(에오봇)도 처음 소개했다. 가정용 허브 로봇은 다른 스마트가전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동화나 음악을 들려주고 요리할 때 레시피 등을 알려준다. 음악 재생과 알림 서비스도 가능하다. 공항용 로봇은 공항 이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안내 로봇, 청소 로봇 등 2종이며 올해 인천국제공항에서 현장 테스트를 시작한다.

이밖에 LG전자는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다양한 자동차 부품 관련솔루션도 소개했다. △운전자의 음성, 동작을 인식하는 인터페이스△파노라마 디스플레이△졸음 운전 방지를 위한 ‘드라이버 스테이트 모니터링 시스템(Driver State Monitoring System)’△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보여주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round View Monitoring)’ 등을 선보였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