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CES 2017]송대현 LG전자 사장 "1등 H&A 목표…홈 IoT·로봇으로 인공지능 선도"

사장 승진 후 첫 공식 기자간담회 개최

LG전자 H&A본부장 송대현 사장이 5일(현지시간) ‘CES 2017’이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글로벌 가전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사진제공=LG전자LG전자 H&A본부장 송대현 사장이 5일(현지시간) ‘CES 2017’이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글로벌 가전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 H&A(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 사업본부장 송대현 사장은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홈 사물인터넷(IoT)과 로봇을 중심으로 미래 사업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송대현 본부장은 사장 부임 이후 첫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1등 H&A 사업본부’를 위한 올해 사업 전략에 대해 공개했다.


송 사장은 인공지능을 생활가전에 결합한 홈 IoT(사물인터넷)로 진정한 스마트홈을 선도하고 생활용 로봇에서 상업용 서비스 로봇으로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LG 전자는 올해 출시하는 모든 가전제품에 무선인터넷(와이파이) 기능을 탑재할 방침이다. 아울러 독자 개발한 ‘딥 러닝’ 기술인 딥싱큐를 탑재한 스마트 가전도 시장에 내놓을 예정이다. 인공지능 가전은 모든 제품이 서로 연결돼 스스로 학습 후 최적화한 해결책을 내놓는다. 예를 들면 와이파이를 탑재한 LG전자 세탁기는 고객의 사용 패턴, 사용하는 물의 종류, 빨래양 등을 스스로 학습해 최적의 빨래조건을 결정한다. 송 사장은 “본연의 기능을 향상하면서 좀 더 편리한 스마트홈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LG전자는 이번 CES에서 가정용 허브(Hub) 로봇을 공개하고 로봇 사업의 확장을 예고했다. 허브 로봇은 집안 곳곳에 있는 미니 로봇과 연결돼 사용자의 행동과 음성을 실시간으로 파악한 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와이파이를 통해 TV, 냉장고, 에어컨 등 가전제품은 물론 조명과 보안시스템도 제어할 수 있다. LG전자는 인천공항공사와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공항 안내 로봇과 공항 청소 로봇을 올해 인천국제공항에서 테스트할 참이다.

송 사장은 “허브 로봇을 가사의 비서 노릇을 하는 로봇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라며 “로봇은 병원을 비롯한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청소, 안내, 노약자 도우미도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송 사장은 허브 로봇의 하드웨어는 이미 출시 준비를 마쳤고 현재 기능을 보완하는 상황이라며 테스트를 거쳐 연내 상용화하겠다고 말했다.

LG전자 H&A 사업본부는 홈 IoT와 로봇 산업 확대를 위해 자사 MC사업본부(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바일 사업), HE(홈엔터테인먼트) 사업본부 인력의 도움을 받고 필요에 따라 외부 업체와의 인수합병(M&A)도 추진할 예정이다. 송 사장은 “IoT와 스마트홈 부문에서 인력 보강을 할 예정”이라며 “MC사업부나 HE 인력 등도 이용하고, CTO 산하에 연구 개발팀이 있어서 지원을 받아 조직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12월 그룹 정기 인사에서 LG전자 부회장으로 승진한 ‘고졸 신화’의 대명사 조성진 부회장의 뒤를 이어 H&A 사업본부를 맡은 송 사장은 “인류의 삶을 편하고 윤택하게 만드는 임무를 수행하겠다”면서 “매출, 영업이익, 사회적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를 모두 끌어올려 1등 H&A를 달성하겠다”고 목표를 전했다. /라스베이거스=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