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한일관계 급랭

일본, 위안부 소녀상 항의…주한대사 귀국조치

통화스와프 재개협상 중단, 고위경제협 연기





일본 정부가 부산 일본영사관 앞에 위안부 소녀상이 설치된 것과 관련해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를 일시 귀국시키는 등 이례적으로 강경한 외교 대응에 나섰다. 한일 통화스와프 협상 등 경제협력 논의도 중단됐다. 이에 대해 외교부가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나가미네 대사를 초치하는 등 위안부 소녀상을 둘러싼 양국관계가 급격히 악화하는 양상이다.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 이후 한중관계가 파국으로 치닫는 가운데 지난 2015년 12월 위안부 협상 타결 이후 개선 조짐을 보이던 한일관계마저 급속도로 얼어붙으면서 한국의 동북아 외교는 고립무원의 처지가 됐다.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6일 각료회의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부산 위안부 소녀상 설치에 대해 “지극히 유감”이라며 항의 표시를 위해 나가미네 대사와 모리모토 야스히로 부산총영사를 일시 귀국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이 밖에 금융위기 대응을 위해 양국 간에 진행 중인 통화스와프 재개 협상을 중단하고 한일 고위급 경제협의도 연기하기로 했다. 부산총영사관 직원의 부산시 관련 행사 참가도 보류된다. 아사히는 위안부상 설치에 대한 아베 신조 정권의 반발이 예상보다 강하다며 대응조치 발표가 빨랐던 만큼 나가미네 대사의 귀국은 7일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스가 장관은 “위안부상 설치는 일본과 한국 관계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면서 “상호합의(2015년 12월 위안부 합의)에 책임지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유감이며 이에 따라 네 가지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조치 해제 시기에 대해서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대응하겠다”며 “소녀상을 조기에 철거하도록 한국 정부와 관계 지자체에 강하게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일본 측의 이 같은 대응이 한일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일본과 한국은 매우 중요한 이웃 나라로 이러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은 매우 유감”이라면서도 “국가와 국가로서 약속한 일은 이행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날 아베 총리도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과 30분가량 전화통화를 하면서 “한일 양국 정부가 책임 있게 (합의를)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역행하는 것은 건설적이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날 통화는 미국 측의 요청으로 이뤄진 것으로 바이든 부통령은 “미국 정부는 위안부 합의를 지지하며 서로 착실히 이행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고 산케이신문은 전했다. 일본 측의 대응 조치는 거론되지 않았다.

한편 일본의 위안부 소녀상 대응 조치에 대해 외교부는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어려운 문제가 있더라도 양국 정부 간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한일관계를 지속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경립·노희영기자 klsin@sedaily.com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