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선박 발주 지원에 들어가는 돈 M&A 지원으로 돌려야"

글로벌 해운업계가 초대형 인수합병(M&A)을 통한 덩치 키우기 전략을 구사 중인 가운데 신조 선박 발주 지원보다는 M&A를 위한 자금 지원에 해운 정책의 주안점을 둬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태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해운정책연구실장은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7 해양수산 전망대회’에서 “전 세계 해운업의 역사는 M&A를 통한 성장의 역사”라면서 “선박 발주 지원에 들어가는 자금을 M&A 지원으로 돌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운사들의 신조 선박 발주를 돕는 금융지원보다는 M&A를 통해 덩치를 키우고 이를 밑천으로 글로벌 해운사와 경쟁할 수 있도록 돕는 게 효과적일 수 있다는 얘기다.


김 실장은 “선박 발주를 통한 성장(organic growth)은 어려울 뿐 더러 세계 시장 변화에도 역행한다”면서 “M&A를 지원하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실제 지난해 전 세계 해운업계에서는 굵직한 M&A 건들이 잊을 만하면 한 번씩 터져 나왔다. 일본 3대 정기선사가 컨테이너 사업부문을 통합하기로 결정했고 세계 1위 컨테이너 선사인 덴마크 머스크는 독일 함부르크수드를 삼켰다. 이밖에 하팍로이드의 UASC 인수,COSCO와 CSCL 합병 등과 같은 M&A가 단행됐다.

중소 근해 선사와 관련해서도 “전 세계 100위권 이내에 우리나라 컨테이너선사가 6곳이나 있다. 이는 단일 국가로는 가장 많은 수”라면서 “국내 중소 선사들이 경쟁하기보다는 협조 체계를 구축해야 아시아 역내 시장에서 한국 중심의 해운 시장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지분에 따른 수익 배분까지 이뤄질 수 있을 만한 끈끈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