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이번 달 전국 27곳, 1만여가구 분양...올 한해 분양시장 가름자

계절적 분양 비수기, 집단대출규제 강화로 분양시장 다소 주춤

지난 달 분양실적보다 78.5% 감소…지난 해 같은 달보다는 47.1% 늘어



새해 첫 달의 분양시장은 올해부터 시작되는 집단대출규제 강화에 계절적 비수기까지 겹치면서 다소 주춤한 분위기다. 전국에서 1만여 가구가 분양될 예정으로 지난 달보다 80% 가까이 감소한 수치다.

11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월 한 달 전국 27곳에서 1만94가구(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등 제외, 임대 포함)가 분양된다. 지난 달(4만6,873가구)보다는 78.5% 감소한 수치다. 다만 지난 해 같은 달(6,861가구)보다는 47.1% 늘어난 물량이다. 이는 건설사들이 시장의 분위기가 더 나빠지기 전에 분양을 서두르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시장 분위기가 가라앉는 것은 정부가 올해 1월 1일부터 분양 공고되는 아파트의 집단대출 중 잔금대출에 대해서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기로 결정 한 탓이 크다. 잔금대출의 소득 증빙이 의무화되고 비거치ㆍ분할상환도 원칙적으로 적용된다. 수분양자들의 입장에서는 대출 받기가 까다로워지고 비용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분양물량은 수도권보다는 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서울 및 수도권은 1월 한 달 간 9곳에서 2,090가구만이 새 주인을 찾게 된다. 전체분양물량의 20.7%에 그치는 수준이다. 지방에서는 18곳에서 8,004가구(79.3%)가 공급된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부산이 1,954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분양물량을 쏟아내며 △충북 1,495가구 △충남 1,327가구 △경남 1,245가구 △경기 980가구 순이다.

김병기 리얼투데이 과장은 “이달부터 대출규제가 강화되는 데다가 금리인상 움직임까지 보이면서 투자보다는 실수요 위주로 접근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며 “정부가 지난 해 8월 LH의 공공택지를 축소하기로 발표하면서 가치가 올라갈 것으로 보이는 공공택지 내 아파트를 노려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