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이해찬 "朴, 진실 호도하지 말라"···盧 대통령 김선일 사건 당시 '일정표' 공개

/출처=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의원 페이스북 캡처/출처=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의원 페이스북 캡처




/출처=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의원 페이스북 캡처/출처=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의원 페이스북 캡처


노무현재단 이사장인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 대리인단이 지난 11일 세월호 7시간 행적 관련 “노무현 전 대통령도 김선일 씨 피랍 사건 당시 관저에서 근무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진실을 호도하지 말라”고 반박했다.


이 의원은 12일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헌재에 세월호 7시간 해명자료를 제출하면서 노무현 대통령도 김 씨 납치사건 당시 관저에 머물며 보고를 받았다고 물타기 했죠?”라며 “진실은 여기 있다”고 당시 일정표와 함께 이같이 밝혔다.

이 의원이 공개한 일정표에 따르면 ‘이라크 무장단체의 김선일 씨 납치 사건’ 발생 당시인 2004년 6월 21~23일 3일간 노 전 대통령의 일정이 자세하게 정리돼 있다.

노무현재단이 보관하고 있던 당시 일정 자료에서 노 전 대통령은 21일 오전 6시 59분부터 7시 4분까지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차장으로부터 최초 전화보고를 받은 뒤 조찬을 하면서 피랍 상황을 보고 받았다.


최초 보고를 받은 노 전 대통령은 관저에 약 1시간 40분 머문 뒤, 8시 47분부터 8시 55분까지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NSC로부터 재차 보고 받았다.

관련기사



노 전 대통령은 이후 9시부터 약 2시간 30분 가량 수석보좌관 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당시 국무총리였던 이 의원은 “관저에서 조찬회의를 하면서 대책회의를 하고 9시부터는 본관 집현실에서 비상사태에 대응하는 과정이 다 나와 있다”며 “김선일 씨가 돌아가신 날에는 새벽 1시에도 보고 받고 새벽부터 대책회의를 한 사실이 다 나온다”고 강조했다.

사건 발생 시각이 새벽인 만큼 관저에서 최초로 보고를 받고 이후 집무실에서 대책회의를 한 노 전 대통령은 박 대통령의 사례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취지의 설명이다.

한편 당시 노 전 대통령의 일정표에는 ‘서면 보고’가 등장하지 않고, 사태 초기부터 참모들과 조찬을 함께 하면서 대책을 논의한 점 등이 돋보였다.

/이세영인턴기자 sylee230@sedaily.com

이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