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보수층 지지세 결집하나..."黃대행, 대선 출마 여부 고심"

黃측 "국민이 권한대행 역할 지켜보고 있는데..." 신중론속

안보희구세력·기독교·보수 법조계 등 추대 움직임 본격화

강직한 외모·낮고 굵은 목소리·흙수저 출신 스토리도 강점

탄핵 인용땐 즉시 사임후 대선 레이스 참여 시나리오 점쳐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연합뉴스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연합뉴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대선 가도에 본격 뛰어든 데 이어 또 한 명의 여권 잠재 주자인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어떤 선택을 할지에 초미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황 대행은 정통 보수 세력에서 배출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대선 후보여서 각종 보수 단체의 추대 움직임이 본격화할 것으로도 예측된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15일 “황 대행이 이번 대선에 출마할지 여부를 최종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인용할 경우 황 대행이 국무총리를 즉각 사임하고 대선 레이스에 뛰어드는 시나리오가 가장 유력하다”고 말했다. 정치에 뛰어들 경우 새누리당을 기반으로 여권 단일 후보를 노릴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그러나 황 대행 측의 한 관계자는 이 같은 관측에 대해 “황 대행이 대통령 권한대행 역할을 제대로 하나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는데 그럴 수 있겠냐”며 조심스런 입장을 나타냈다. 대통령 권한대행을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넘기고 대선판에 뛰어드는 일이 가능하겠냐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입장과는 달리 정치권은 황 대행의 출마 가능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황 대행을 둘러싼 환경이 그의 결심을 재촉하는 면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황 대행 지지세력의 중심은 이른바 ‘애국 보수’라고 불리는 사람들이다. 안보를 가장 중요한 국가 과제로 생각하는 세력으로 한국 사회에서 이념적으로 가장 우측에 있는 층이 황 대행을 지지하는 것으로 정치권은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 박 대통령 옹호세력도 황 대행에게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수적인 원로 법조인들도 황 대행을 밀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정통 보수층은) 박 대통령이 줄곧 강조한 강력한 대북제재 등 안보 정책을 계승할 수 있는 주자는 황 대행이 유일하다고 보는 것 같다”면서 “보수단체들의 지지세가 상당하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 한 사립대 교수도 “한국의 보수층을 흔히 ‘경제 보수’와 ‘안보 보수’로 나누는데 이들 중 안보 보수는 황 대행에게서 이념적 동질성을 찾으려고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개신교의 주류인 보수 기독교계가 황 대행을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도 황 대행의 출마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다. 황 대행은 한때 개신교 전도사로도 활동했다. 사법연수원 시절 야간 신학대학에 편입해 다니며 자격을 갖췄다. 은퇴 후 목회활동을 꿈꾸는 예비 목회자로 신앙심이 깊다. 황 대행 부인인 최지영씨는 음반을 발표한 가스펠 가수로 복음성가계에서는 유명인사다. 인품 또한 대단히 훌륭하다는 평가를 교인들로부터 받고 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보수층과 기독교계가 지지한다는 점에서 황 대행의 잠재력은 상당하다고 봐야 한다”면서 “출마 선언을 하지 않은 현재 5~7%대 지지율이 나오는데 본격 대선 행보를 시작하면 한순간에 10% 이상의 지지율이 기록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황 대행의 외모와 목소리도 지지율 상승의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여성 유권자들에게 호감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한 여성 지지자는 “강직해 보이는 외모와 낮고 굵은 목소리가 안정감을 준다”고 말했다. 황 대행은 현재 다른 후보에 비해 대중적 기반이 약하다. 하지만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의 광폭 행보, 그리고 외모와 목소리를 바탕으로 이를 단기간에 극복할 수 있다고 지지자들은 보고 있다. 한 전직 여성 국회의원은 “황 대행은 흙수저 출신이라 ‘스토리’도 된다”고 말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일부 언론사 고위층과 황 대행 주변 일부 기자들도 출마를 권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들이 조언 그룹으로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고 관측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