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빅터 차 "한국에 트럼프 전화받을 사람 없어선 안돼"

대한상의 강연…"美 정권교체기 한국내 지속가능한 리더십 있어야"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가 1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트럼프 시대, 한국 경제의 진로’ 세미나에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가 1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트럼프 시대, 한국 경제의 진로’ 세미나에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신행정부 참여 가능성이 제기되는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는 18일 “미국 정권교체기에 다가올 도전들을 다루려면 한국에 지속 가능한 리더십이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차 석좌는 이날 서울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트럼프 시대, 한국 경제의 진로’ 세미나에 참석해 “현재 진행 중인 한국의 정치위기는 반드시 해결돼야 한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북한이 (미국) 새 행정부의 위기가 되는 것은 충분히 예상 가능하며 북한 위기가 발생하면 미국과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우방국과 비(非)우방국의 구분이 명확해질 것”이라면서 동맹의 중요성 차원에서 미국의 동맹인 한국에 지속 가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단순히 말하자면 북한 위기로 인해 신임 미국 행정부와 한국 지도부 간에 조율이 요구된다면 트럼프는 전화를 들 용의가 있겠지만 받을 상대방이 없는 상황은 좋지 않다”며 “이는 반드시 시정돼야 한다. 가능한 한 일찍 이 방향이든 저 방향이든 타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는 20일(현지시간) 출범하는 미 차기 트럼프 행정부와의 원활한 대북 공조를 위해서는 한국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는 어려우며 탄핵 국면이 조기에 마무리돼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차 석좌는 또 “앞으로 북한의 도발은 늘어날 것”이라면서 “북한 문제는 트럼프 신행정부의 초기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에게 2001년 9·11테러가 그랬던 것처럼 북한 변수가 트럼프 국정 운영에 대한 평가를 좌우할 중대 현안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한미동맹 체제와 관련해 대북 제재를 계속 추진하고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일정은 조속히 추진돼야 하며 인권 문제로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 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보좌관을 지낸 차 석좌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무부나 국방부 동아태 차관보로 중용될 가능성이 미국 언론 등에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차 석좌는 긍정도 부인도 하지 않고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