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허리통증의 주범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 차이는?



하루 대부분을 앉아서 보내고 운동량 부족으로 허리 근력이 약해진 현대인들은 허리 통증이나 척추질환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허리 통증은 강도가 심해지고 생활에 불편을 초래한다.

일반인들은 허리 통증이 지속되면 우선적으로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가 아닌지 의심하게 된다. 실제 허리디스크는 척추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디스크 테두리를 형성하는 섬유륜이 부풀어 밀려 나오거나 섬유륜 안의 수핵이 튀어 나와 신경을 누르면서 발생한다.


허리디스크 증상으로는 엉덩이부터 발까지 전해지는 찌릿함과 극심한 통증, 다리 저림 및 운동신경 마비 등이 있다. 특히 앉아있을 때 증상이 더욱 심하게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세란병원 척추센터 박성춘 원장은 “허리디스크는 현대인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척추질환으로 허리 및 다리의 통증과 함께 심하면 신경마비까지 연결될 수 있다”며 “하지만 연세가 드신 분들의 허리 및 다리 통증 원인이 추간판탈출증이 아닌 척추관협착증 때문일 수도 있으며, 두 질환은 다른 질환인 만큼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과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박 원장의 말처럼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하지만 원인은 전혀 다른 척추질환이다. 추간판탈출증이 퇴행성 디스크 파열에 의한 것이 원인이라면, 척추관협착증은 노화로 인해 척추관절에서 뼈가 자라고, 인대가 두꺼워지며, 퇴행성 디스크가 밀려 나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는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

관련기사



특히 앉거나 누워있을 때 통증이 심한 허리디스크와 달리, 척추관협착증은 걷거나 서있을 때 주로 증상이 나타나며, 조금만 걸으면 다리 저림이 생겨 쉬었다 걸어야만 하는 파행증이 나타나고, 추간판탈출증에서 볼 수 있는 하지직거상 검사에서의 이상 소견이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것도 특징이다.

두 질환 모두 치료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보존적 치료 또는 비수술적인 치료를 적용하게 되며 만약 상태가 악화됐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박성춘 원장은 “요즘은 환자가 먼저 인터넷 검색을 통해 허리 통증에는 특정 수술이나 치료가 좋지 않으냐고 묻는다. 하지만 정작 본인의 증상이 허리디스크인지 척추관협착증인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중요한 것은 몸에 이상이 지속적으로 느껴지면 빠르게 내원하여 정밀한 검사를 받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나이, 척추 상태, 근육 정도 등 요소를 고려해 가장 적절한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안재후 기자

안재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