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국민 10명 중 6명 "주 1회 이상 운동"

2016년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10대 63.1%로 최고…70대 증가폭 2위

걷기·등산·보디빌딩·축구 순

운동 못 하는 원인은 시간 부족

국민 10명 중 6명이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19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발표한 2016년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비율은 59.5%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 56.0%에서 3.5%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2014년 처음 과반(54.8%)을 기록한 후 2년 연속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만 10세 이상 국민 9,01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연령별로는 10대의 63.1%가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해 비율이 가장 높았다. 2015년에 비해 14.1%포인트 상승했는데 ‘학교 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의 긍정적 효과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10대 여학생의 참여율은 54.9%로 2015년의 35.2%보다 대폭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부터 학교 스포츠클럽 종목의 일정 비율 이상을 해당 학교 여학생들이 선호하는 종목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여학생 체육 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 효과로 풀이할 수 있다. 70대 이상 참여율은 55.3%로 2015년 대비 5.6%포인트 증가해 10대 다음으로 증가 폭이 컸다.


한 달에 한 번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응답자(70.5%)가 참여하는 종목은 2015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걷기(35.6%), 등산(16.7%), 보디빌딩(14.6%) 순으로 나타났다. 축구·풋살(8.7%), 수영(7.4%), 자전거(6.7%), 배드민턴(5.8%), 요가(5.8%), 체조(5.3%), 골프(4.6%)가 뒤를 이었다. 체육 참여 시간은 퇴근 후인 오후6시에서 10시 사이가 36.3%로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생활체육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응답자(15.9%)를 대상으로 원인을 조사한 결과 64.6%가 시간 부족 때문이라고 답했고 관심 부족(37.7%), 체육 시설 접근성(23.6%), 비용 부담(17.3%)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문체부는 “기초생활체육 저변 확산을 위해 생애주기별 체육 활동 지원, 학교체육시설 개방 확대, 생활체육 광장 운영, 스포츠클럽 확대 및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사업 등을 지속해서 추진하는 한편 전국 시군구당 1곳 이상의 국민체육센터와 개방형 다목적체육관 건립 지원도 계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