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힘 모은 SKT·노키아, 새 무전통신기술 개발

LTE기반 안정적 그룹 통신

국가재난통신망 활용 기대

SK텔레콤과 노키아의 구성원들이 폴란드 크라쿠프에 위치한 노키아 연구소에서 VoLTE망 기반의 차세대 무전통신 기술 시연에 성공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과 노키아의 구성원들이 폴란드 크라쿠프에 위치한 노키아 연구소에서 VoLTE망 기반의 차세대 무전통신 기술 시연에 성공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과 노키아의 구성원들이 폴란드 크라쿠프에 위치한 노키아 연구소에서 VoLTE망 기반의 차세대 무전통신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과 노키아의 구성원들이 폴란드 크라쿠프에 위치한 노키아 연구소에서 VoLTE망 기반의 차세대 무전통신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이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업체 노키아와 함께 롱텀에볼루션(LTE) 기반의 무전통신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기술은 대형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국가재난안전통신망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개발된 차세대 무전통신 기술은 국제 이동통신 표준기구인 3GPP가 채택한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라는 기술이다. 사용자가 급증할 경우에도 방송(eMBMS) 기반의 일괄전송기술(GCSE)을 활용해 안정적인 그룹 통신이 가능하다. VoLTE를 기반으로 해 통화품질이 우수하고 기존보다 2배 이상 빠른 호 처리가 가능한 점도 특징이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IP망 기반의 무전기술(PTT)은 재난현장에서 수백 명이 동시에 통신을 이용할 경우 네트워크 품질이 낮아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이번에 개발한 LTE 무전기술을 국내 재난안전통신망(PS-LTE) · 철도통합무선망(LTE-R)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 미국 · 영국 등 재난망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로의 진출도 기대하고 있다.

심상수 SK텔레콤 인프라비즈(Infra Biz) 추진본부장은 “재난망 본사업의 핵심 솔루션인 LTE 무전기술을 노키아 및 국내 사이버텔브릿지 등과의 협력을 통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 수준으로 개발했다”면서 “이를 통해 성공적인 재난망 사업 완수에 기여하고 국내 우수 중소기업과 함께 해외 진출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