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서울경제TV] 삼성 “갤럭시 노트7 발화는 배터리 문제”

삼성전자 “배터리 결함… 기계 자체 이상 없다”

700명 투입 폰 20만대·배터리 3만대 테스트

美·獨 전문기관도 “발화 원인 배터리 결함”

삼성전자 “8단계 배터리 검사 프로세스 도입”

배터리 등 핵심부품 전문팀 구성 전문성 강화

[앵커]

삼성전자가 오늘 출시된 지 불과 50여일만에 단종이라는 오명을 안은 ‘갤럭시 노트7’의 발화 원인을 발표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조사 결과 불에 타서 부서지는 현상, 즉 소손 원인은 배터리 결함으로 최종 결론지었습니다. 삼성전자는 ‘갤노트7’ 악몽을 교훈 삼아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고 품질과 안전을 최우선에 둔다는 방침입니다. 김혜영기자입니다.


[기자]

삼성전자가 오늘 오전 서울 서초구 사옥에서 갤노트7 발화 원인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10월 단종 결정을 내린 지 3개월만입니다.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기계 자체에는 이상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원인은 배터리였습니다.

[인터뷰]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


“A 배터리의 경우 소손의 주요 원인은 음극판의 눌림 현상으로 분석되었습니다. B 배터리의 경우 음극판에서 구리 성분이 녹아 있는 현상을 공통적으로 발견하였고…”

관련기사



앞서 삼성전자는 700여명의 엔지니어를 동원해 20만대 이상의 완제품과 3만대 이상의 배터리를 테스트했습니다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의뢰한 미국, 독일 등 해외 전문기관들의 분석 결과 역시 배터리 결함으로 모아졌습니다.

재발 방지대책도 내놨습니다.

[인터뷰] 고동진/삼성전자 사장

“엑스레이 검사와 랜덤 샘플링 해체 분석을 진행하는 등 검사기준을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

삼성전자는 ‘갤노트7’과 같은 사례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다중안전 장치 등 8가지 배터리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할 방침입니다.

또한, 배터리 등 핵심 부품에 대한 부품 전문팀을 구성하고, 외부 전문가 영입을 확대하는 등 부품 전문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김경진·이창훈/영상편집 이한얼]

김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