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시리아 평화회담 카자흐서 개최…휴전 체제 등 논의

23∼24일 비공개로 진행…러·터키·이란 3국이 중재

6년째 계속되고 있는 시리아 내전 사태 해결 방안 논의를 위한 평화회담이 23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서 시작됐다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아스타나의 한 호텔에서 이날 오후 시작된 회담은 이튿날 오후까지 비공개로 진행될 예정이다. 회담에는 시리아 정부와 반군 대표, 회담을 중재한 러시아·이란·터키 대표, 스테판 데 미스투라 유엔 시리아 특사 등이 참석했다. 미국도 조지 크롤 카자흐스탄 주재 대사를 참관인 자격으로 파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개막 회의에서 한자리에 모인 참석자들은 시리아 정부 대표, 반군 대표, 러시아·터키·이란·미국·유엔 대표 순으로 시리아 사태에 대한 각자의 입장을 발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본 협상이 시작된 후에는 시리아 정부와 반군 대표가 각각 다른 방으로 옮겨가 중재국을 통해서만 입장을 주고받았다고 회담 참석자가 전했다.


개막 회의에 앞서 시리아 정부와 반군은 별도의 양자 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군 측은 AFP 통신에 “시리아 정부가 지난해 12월 30일 서명된 휴전 협정 내용을 이행하지 않아 양자 회담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회담 참가자들은 24일 회담이 끝난 뒤 기자회견을 통해 공동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타스통신은 공동성명 초안에 러시아·터키·이란이 시리아 내 반군과 테러리스트들을 분리하고,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등 테러조직과의 전쟁을 계속한다는 내용이 성명에 담겼다고 전했다. 성명에는 또 3국이 휴전 체제 모니터링을 위한 공동감독기구를 만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다만 전문가들은 시리아 정부와 반군 간에 여전히 견해차가 커 이번 회담에서 당장 내전 사태를 완전히 종식하는 큰 틀의 합의를 이루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휴전 체제 유지를 위한 관련국들의 합의가 이뤄지는 선에서 회담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