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푸른바다’ 이민호의 힘!‘HanCinema‘ 가장 좋아하는 배우 1위-’아이플릭스‘ 선정 올해의 배우

이민호가 국내는 물론 전 세계에서 압도적 브랜드 파워를 과시하고 있다.


3년만의 드라마 복귀작SBS ‘푸른 바다의 전설’(연출 진혁, 극본 박지은)이 첫 방송부터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지켜오고 있고, 19일 방송된 19회가 전국 21.0%(시청률조사회사 닐슨코리아 집계결과)를 돌파하며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며, 이민호가 가진 흥행력이 수치로 재입증 됐다. 해외에서도 이민호와 ‘푸른 바다의 전설’은 해외 드라마 팬들의 뜨거운 관심 속 국내외 쌍끌이 인기를 견인하고 있는 셈이다.

/사진 =MYM 엔터테인먼트제공/사진 =MYM 엔터테인먼트제공




/사진 =MYM 엔터테인먼트제공/사진 =MYM 엔터테인먼트제공


이민호의 위상은 여러 투표 및 설문 결과로 드러난다. 한국 영화 및 드라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이트인 ‘HanCinema’에서 가장 좋아하는 남자 배우 1위에 선정됐다. 영어권 최대 한류 포털 사이트 ’숨피닷컴‘이 진행하는 제12회 숨피어워즈에서 올해의 배우 1위, ’푸른 바다의 전설‘이 올해의 드라마로 선정된데 이어 베스트 커플, 베스트 브로맨스까지4관왕을 석권했다. 필리핀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아이플릭스’가 진행한 ‘Best Actor of 2016’ 투표에서는 41.75%의 지지를 얻어 1위에 선정됐다.


반응을 가장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SNS 반응도 흥미롭다. 중국 현지에서 ‘푸른 바다의 전설’은 가장 핫한 드라마 중 한 편이다. 중국 최대 SNS 웨이보에서‘푸른 바다의 전설’ 해시태그는무려 48억 회 조회되며 이민호의 힘을 가늠케 하고 있으며, 이민호는 한국 아티스트 차트 1위에 랭크되어 있다. 방송 직후 12시간 이내에는 해당 해시태그가 웨이보 전체 드라마 및 해외 드라마 인기 차트 모두 1위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이러한 반응을 견인하는 것은 역시 이민호의 인기다. 이민호 웨이보팔로워는 꾸준히 증가해 1월 현재 2900만 명을 돌파했다. 한국 스타 중 압도적 1위로, 대한민국 인구수의 절반을 넘는 수가 이민호를 팔로우하고 있다. ‘이민호 질투’가 방송 직후 인기 검색어1위, 해시태그 인기 차트 2위에 이름을 올린 바 있고, 이민호가 극중에서 입고 나온 ‘이민호 녹색니트’가 검색어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민호 목욕탕’, ‘이민호 아내 과잉보호’, ‘이민호 찜질방’, ‘이민호 벽밀’ 등도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드라마 속 이민호의 패션, 행동 하나하나에 관심이 쏟아지고 SNS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푸른 바다의 전설’이 정식 서비스 되는 지역에서의 인기는 더욱 놀랍다. ‘아이플릭스’는 ’푸른 바다의 전설‘ 방영 이후 지역 가입자가 두 배 가량 증가했고, 신규가입자의 20%가 가입 직후 ’푸른 바다의 전설‘을 시청했다.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등 아시아 지역에 서비스 되는 유료 텔레비전 채널 ’소니원‘에서는 첫 방송이 동시간대1위를 차지하고,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각국에서 한류채널 점유율 92%, 82%를 차지했다. 북남미 및 유럽 중심의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비키’(viki)에서 ‘푸른 바다의 전설’ 채널은 방송 3주 만에 6만4천여 명의 팔로우를 이끌어냈다. 특히 현재 방영중인 ‘푸른 바다의 전설’이 주간 인기순위 1위에 오르고, ‘상속자들’이 한국드라마 전체 인기 순위 1위에 오르는 등 이민호의 출연작이 순위를 석권하는 기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한 드라마 관계자는 “‘푸른 바다의 전설’ 허준재는 그 동안 이민호가 보여준 매력을 총합체다. 이민호가 성장한 연기력과 캐릭터의 변주를 통해 허준재의 매력을 제대로 살리며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고 평가하며 “3년 만에 컴백하면서 이민호를 기다렸던 팬들의 에너지가 더욱 폭발적인 파급력을 드러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푸른 바다의 전설‘ 막바지 촬영중인 이민호는 팬미팅 티켓 예매 오픈과 동시에 6천석이 매진되며 막강한 파워를 과시했다. 내달 18, 19일 양일간 열리는 팬미팅에는 전 세계 각지의 팬들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