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이재명 '열정페이' 피해접수 SNS에서 반응 쇄도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재명 성남시장 측은 SNS를 통해 접수된 열정페이 사례를 모아 페이스북에 카드뉴스(위)를 게재했다./출처=이재명 성남시장 페이스북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재명 성남시장 측은 SNS를 통해 접수된 열정페이 사례를 모아 페이스북에 카드뉴스(위)를 게재했다./출처=이재명 성남시장 페이스북


이재명 성남시장이 대선 출마선언 이후 시작한 ‘열정페이’ 피해접수에 대해 SNS에서 피해사례 제보가 쇄도하고 있다.

이 시장 측은 23일 오후 5시 30분부터 24일 오전 9시 30분까지 이 시장의 블로그 댓글과 이메일로 100건, 페이스북 댓글과 메시지로 350건, 트위터 멘션과 쪽지로 50건 등 총 500여건의 열정페이 피해사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 시장 측은 “제보된 사례를 보면 성별·나이별·직종별로 다양하다”며 “페이스북에서는 댓글로 친구 이름을 태그하는 등의 방식으로 참여를 유도하는 등 확산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구체적 사례로 A씨는 “21살부터 제과제빵업에서 일해왔으나 6년이 지나도 변한 것은 없다”며 “아침 4시에 출근하고 저녁 6시에 퇴근하는데 월급은 120만원에 불과하고 주 5일제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제과제빵업계의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했다.

관련기사



이외에도 영화계, 교육계, 유치원, 미용, 프랜차이즈 가맹점, 대학원생 등 다양한 직종에서 열정페이 피해사례에 대한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

이 시장 측은 접수된 피해사례를 분석해 정책화할 계획이다.

이 시장 측은 “언론보도나 연구자료를 참고한 대책·공약을 제시하는 것보다 열정페이의 당사자인 청년 세대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는 것이 더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방법”이라며 “접수된 사례를 세밀히 분석해 공론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 시장은 23일 페이스북에 “대한민국에서 더 이상 헌신이라는 이름으로 재능을 착취당하는 젊은이가 있으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며 “낱낱이 조사해서 열정페이를 작살 낼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온라인 피해 접수창구’ 개설을 공지한 바 있다. /홍주환 인턴기자 thehong@sedaily.com

홍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