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바닷길 한국 여행도 통제 나서나

MSC, 1~2월 톈진발 韓노선 크루즈 기존보다 3회↓

내달까지 감축운항 예상...부산 입항 유커 올 10% 줄듯

한국행 전세기 불허 이어 '사드 분풀이' 지속 가능성



중국이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을 겨냥해 한국행 중국인 관광객(유커) 통제에 나선 가운데 올 들어 한국에 기항한 중국발 크루즈 수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드 분풀이를 하고 있는 중국이 연초 한국행 전세기 불허에 이어 해운 여객까지 통제에 나선 것으로 관측된다.

31일 중국 현지 관광 업계와 외교가에 따르면 리리카크루즈를 운영하는 국제선사 MSC는 중국 톈진에서 한국을 거쳐 일본 등으로 향하는 항로를 1~2월 기간 평소 대비 3회 줄였으며 이 같은 감축 운행 조치를 오는 3월까지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행 업계에서는 이번 한국행 크루즈 축소 움직임이 지난해 중국 당국의 한국행 관광객 20% 감축 지시 영향 때문으로 보고 있다. 사실상 중국 당국이 한국행 관광객 수 통제에 나서면서 한국행 여행상품 판매와 비자 발급이 힘들어져 국제 선사들도 한국행 크루즈선 운영을 축소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MSC사의 리리카호 감축 운행과 별도로 지난해 프린세스크루즈의 마제스틱호는 중국발 한국행을 13회에서 11회로 줄였고 NCL사의 노르웨지안조이호도 한국행 크루즈를 8회에서 5회로 축소했다. 이 여파로 올 들어 인천항과 부산항에 온 크루즈선 관광객 수는 당초 예상보다 크게 줄어들 것으로 관련 업계는 보고 있다. 부산항의 경우 올해 크루즈선 관광객 수가 66만여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최근 중국발 한국행 크루즈 감축 운행 여파로 당초 예측보다 10% 정도 줄어든 60만명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 당국의 크루즈 운항 통제 조치가 지속되면 올해 부산항 크루즈 관광객이 지난해(57만명)보다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관련기사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중국 정부가 한국행 여행 제한 조치에 지난해 11월부터 올 4월까지 6개월 시범기간을 정해놓았지만 경색된 한중 관계가 풀리지 않는다면 사드 분풀이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진에어 등 한국 항공사는 지난해 12월에 전세기를 운항하겠다고 중국 민항국에 신청했으나 허가를 받지 못했으며 이 같은 운항 불허 조치는 2월까지 이어진다는 통보를 받은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도 사드 때리기 기조를 좀처럼 누그러뜨리지 않는 분위기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한반도의 사드 배치가 한국의 국가 안보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양국 경제 관계에는 큰 어려움이 올 것”이라며 “한국이 예정대로 7월까지 사드 배치를 완료하면 올해 수교 25주년을 맞은 한중 관계는 협력보다는 충돌이 지배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