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단절된 성장바통] 獨, 제조업에 IT 결합 '스마트공장' 구축... 美, AI 개발 위한 뇌 연구에 30억弗 투자

<4차 산업혁명 속도내는 선진국>

日도 저출산·고령화 대비

제조업 현장서 로봇 활용



독일·미국·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정부가 ‘4차 산업혁명’을 주요 국정과제로 삼고 발 빠르게 관련 산업 육성에 나섰다.

대표적인 국가는 ‘4차 산업혁명’의 표본이라 불리는 독일이다. 독일 정부는 이미 지난 2011년 제조업에 정보기술(IT)을 결합한 ‘인더스트리 4.0’ 전략을 내놓았다. 독일 정부는 생산공정 디지털화와 스마트공장 도입 등 제조업 혁신을 위해 도입한 이 정책을 바탕으로 세계의 4차 산업혁명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는 공장이 스스로 생산공정을 통제하고 수리와 작업장 안전 등을 관리하는 ‘스마트공장’ 설립이 이어지고 있다. 독일 지멘스는 암베르크 자동화 설비 공장을 통해 혁신을 이뤘다. 다양한 센서와 장비가 수집하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스로 판단해 공정을 최적화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자동화 장비와 로봇·소프트웨어를 활용해 하루 5,000만개의 개별 공정을 관리하며 75%의 자동화율을 달성했다. 불량품은 100만개당 11개 정도에 불과하다. 독일 스포츠용품 제조사 아디다스도 ‘스마트공장’을 설립하며 23년 만에 독일로 다시 돌아왔다. 연간 50만켤레를 만들 수 있는 공장에 근로자는 단 10명뿐으로 재단과 재봉을 로봇과 3D프린터가 맡는다.

관련기사



미국 정부 역시 4차 산업혁명의 최대 화두인 인공지능(AI)과 관련한 ‘브레인 이니셔티브’ 정책을 발표했다. 2013년 당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공표한 정책으로 10년간 30억달러를 투자해 뇌 연구를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아울러 미국은 2011년 국가 로봇 이니셔티브(National Robotics Initiative)를 출범시키기도 했다. 인간의 역량을 확장하거나 강화하면서 인간과 함께 일할 수 있는 협업형 로봇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미국 농무부(USDA)를 중심으로 농장에 투입할 수 있는 대형 로봇 개발에도 착수한 상태다.

일본의 경우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에 대비해 특히 로봇을 통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고 있다. 2015년 ‘로봇 신전략’을 발표한 일본은 제조업 현장에서 로봇을 활용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AI 기술까지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일본은 생활 지원, 간병 등 서비스용 로봇 육성을 위해 관련 예산을 지난해 600억엔에서 오는 2020년까지 1조2,000억엔(약 12조2,884억원)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후발주자지만 중국도 빠른 성장 속도로 선진국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중국 제조 2025’를 국가전략으로 삼고 세계의 하청공장을 벗어나 미국·독일 등 선진국을 따라잡겠다고 선언했다. 로봇·AI 등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 제조공정의 스마트화 추진이 핵심이다. 인터넷을 전 산업으로 확산하는 중국 정부의 정책인 ‘인터넷 플러스 전략’도 주목할 만하다. 중국 정부는 2018년까지 인터넷·정보통신기술(ICT)과 경제·사회 전반의 융합, 이를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을 목표로 삼았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