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민연금 더 받자" 반납신청 작년 13만명 역대 최대

"일시금 토해내더라도 매달 받는게 좋아"

노후보장책으로 활용...3년연속 늘어





국민연금 반납신청자가 3년 연속 늘어나 지난해 13만명을 돌파했다. 이미 받은 일시금을 토해내더라도 노후보장을 위해 다달이 연금 받기를 선호하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8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반납신청자는 지난 2014년 8만415명, 2015년 10만2,883명, 2016년 13만1,400명으로 3년 연속 늘어났다. 특히 지난해는 국민연금 제도가 시행된 1988년 이후 최대 규모였다.

관련기사



공단은 현재 최소가입기간(10년)을 채우지 못한 가입자에게는 그동안 낸 보험료와 이자를 합친 금액을 일시금으로 지급하고 있다. 반납제도는 일시금 수령자가 그 돈을 다시 공단에 돌려주면 가입기간을 복원해주는 것이다. 그 후 가입자가 다시 최소가입기간을 충족시키면 평생 연금 형태로 돈을 받을 수 있다.

국민연금을 일시금으로 이미 수령한 가입자는 반납제도를 활용하지 않으면 매달 돈을 받는 방식으로는 연금을 탈 수 없다. 단 일시금을 받지 않은 가입자는 임의계속가입제도를 활용해 최소가입기간을 채울 수 있다.

일시금 수령자는 최소가입기간을 충족시키지 못한 채 60세에 도달했거나 해외이민·국적상실 등으로 국민연금 가입자격을 잃은 이들이 대부분이다. 국민연금의 한 관계자는 “노후소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반납제도를 활용하는 가입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며 “반납제도를 이용하면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금수령액도 늘어난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