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그룹, 차세대 혁신기술 개발 ‘전략기술연구소’ 출범

혁신기술 기반 제품·서비스 개발 및 사업 구체화

인공지능·공유경제등 혁신 트렌드·기술 연구개발

기술 기획 전략가 등으로 구성, 점진적 조직 확대

현대자동차그룹은 전략기술연구소를 출범시켜 인공지능 등 차세대 혁신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지난 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 현대자동차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통해 가상 운전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현대자동차그룹은 전략기술연구소를 출범시켜 인공지능 등 차세대 혁신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지난 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 현대자동차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통해 가상 운전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산업 혁신을 선도할 차세대 혁신기술 개발 역량을 결집·강화하기 위해 전략기술연구소를 출범시켰다.

현대차그룹은 정보통신과 인공지능, 신소재, 에너지, 로보틱스, 공유경제 등 미래 혁신 분야를 집중 연구하는 전략기술연구소를 출범시켰다고 21일 밝혔다.

전략기술연구소는 연구개발 활동과 함께 신규 비즈니스 플랫폼 구체화를 통해 통합적 미래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신규 비즈니스 플랫폼은 미래차 융·복합기술을 포함해 미래 혁신 기술과 관련된 모든 분야를 아우른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급변하는 환경 변화 대응을 넘어 산업 변혁을 견인하고, 소비자에게 놀라운 가치를 제공하겠다는 의지의 일환”이라며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 발굴은 물론 혁신의 새로운 지평을 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전략기술연구소는 기술 기획 전략가, 선행기술 엔지니어, 사업화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다. 경기도 의왕연구소에서 운영을 시작하고, 점진적으로 조직 규모가 확대된다. 연구소는 미래 사회·기술 트렌드 연구에 기반한 신사업 구상과 진행, 기술 개발 전략 등을 담당하는 조직과 신소재·에너지·바이오 헬스·로보틱스 등 혁신 기술을 개발하는 조직 등 크게 두 부문으로 구성된다. 최근 융·복합 기술 확대에 따른 미래 사회의 변혁, 소비자들의 니즈 다양화로 인해 전략기술연구소의 비중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어서 현대차그룹은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을 대거 영입할 계획이다.

기술 개발과 사업화 추진 등 각종 프로젝트 실행은 아이템 및 시장 환경에 따라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방식이 적극 활용된다. 오픈 이노베이션은 전문 기업체나 대학, 연구소들과 적극 협업에 나서는 형태로, 첨단 신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고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촉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사물인터넷 등 정보통신기술의 융?복합이 전 산업으로 확산되는 변혁이 일어나면서 기업들이 과감한 도전에 나서고 있다”며 “미지의 영역을 개척하고 차세대 혁신 기술을 기반으로 독창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소비자에게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는 ‘마켓 쉐이퍼’로 자리잡겠다”고 말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