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허 회장과 권 부회장 앞에 놓인 과제는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 전경련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엮여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을 맞았기 때문이다. 존립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해체 압박이 거세고 삼성 등 주요 그룹들이 회원에서 탈퇴하는 등 안팎 곱사등이 신세다. 전경련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도 좋지 않은 판이다. 어느 것 하나 전경련에 우호적인 것이 없다고 할 정도다.
허 회장이 이날 총회에서 말한 것처럼 “환골탈태해 완전히 새로운 기관으로 재탄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취임 일성으로 정경유착 근절, 내부 투명성 강화, 싱크탱크 기능 강화 등 3대 혁신을 강조한 것도 이런 맥락으로 이해된다. 일부에서는 탈바꿈으로는 안 되고 아예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도 하지만 그동안 경제발전에 기여해온 단체라는 점에서 무조건 해체는 사회적 손실이 될 수 있다. 상당수 그룹 총수가 해체에 반대 의사를 밝힌 것은 이런 의미일 것이다.
지금 전경련에 요구되는 것은 해체에 버금가는 혁신이다. 당장 시대 변화에 맞게 기능과 역할을 새롭게 정립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현재와 같은 대기업 이익집단이 아닌 정책연구를 통해 자본주의와 시장경제 방향을 제시하고 자유민주주의 이념 교육과 전파 역할을 하는 싱크탱크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전경련은 1961년 자유시장경제 창달을 목표로 설립된 이래 산업화와 경제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게 사실이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정부 주도의 경제개발정책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창의·능률을 바탕으로 한 민간 주도 자율경제로의 변신을 주장해 정책전환의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마침 허 회장도 “경제활성화에 앞장서는 싱크탱크가 되겠다”고 밝힌 만큼 ‘싱크탱크 전경련’의 활약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