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작년 교통사고 사망자수 12년 만에 대폭 감소

2016년 교통사고 사망자 4,292명…2004년 대비 9% 감소

지난해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1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은 2016년 한 해 22만917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4,292명이 사망하고 33만1,720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26일 밝혔다. 사망자는 2015년(4,621명) 대비 329명(7.1%) 감소하고 2004년(6,563명) 대비 9.0% 감소해 가장 크게 줄었다.


음주운전 사고 사망자는 2015년보다 102명(17.5%)이 줄어든 481명을 기록했다. 이는 검찰과 경찰이 음주운전을 방조한 동승자까지 적극 처벌하고, 음주운전 전력자가 재범하면 차량을 압수 또는 몰수하는 등 강력 대응한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 해 음주운전 사고 사망자가 가장 많은 시간대는 심야인 오후 10시∼다음날 오전 6시(278명, 57.8%)였다. 특히 오전 2∼4시에 가장 많은 사망자(88명, 18.3%)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행 사망자는 2015년(1,795명)보다 81명(4.5%) 줄어 지난 해에는 1,714명을 기록하긴 했으나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이 39.9%에 달해 전년보다 점유율은 오히려 1.1%p 상승했다.


2016년 노인 보행 사망자는 866명으로 2013년 이후 계속 감소 추세이며, 어린이 보행 사망자도 전년보다 5명(12.2%) 감소한 36명이었다.

관련기사



노인 운전자가 낸 사고 사망자는 759명으로 전년보다 56명(6.9%) 감소, 2011년 이래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 가운데 노인 운전자가 이륜차를 몰다 사고를 내 사망한 인원이 239명으로 전년보다 28명(13.3%) 증가했다.

고속도로 사망자는 2013년 이후 감소세를 유지하다 지난 해 273명이 사망, 전년보다 32명(1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용 화물차 사고로 숨진 인원이 96명에 달해 전년(28명)보다 41.2% 늘었다.

작년 한 해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모두 4,347건이 발생하고 273명이 사망, 치사율 6.3%를 기록했다. 이는 일반 사고(1.9%)의 3배가 넘는 치사율로, 특히 고속도로에서 화물차가 낸 사고의 치사율은 13.6%로 매우 높았다.

지난 해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는 전년보다 6명(9.2) 증가한 71명이었다. 자동차 탑승 중 사망한 어린이가 31명으로 전년보다 6명(9.2%) 늘었고, 이들 가운데 14명이 사고 당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다.

경찰 관계자는 “올해 교통사고 사망자를 3,000명대로 줄이는 것이 주요 정책목표이다”며 “특히 어린이·고속도로 교통사고 예방 대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