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국내 자생종 자화전호, 천식치료에 ‘효과’

한의학연 권보인 박사 연구팀, 천식치료 효과 입증

국내 연구진이 국내 자생식물종인 자화전호와 중국산 백화전호가 천식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밝혔다.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혜정)은 K-herb연구단 권보인 박사 연구팀이 국내 자생종 자화전호와 중국산 백화전호의 천식치료 효과를 입증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자화전호의 효과가 백화전호 대비 우수하게 나타나 국내 자생 한약재의 확보와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약재 전호(前胡)는 식약처가 발간하는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백화전호 또는 자화전호(바디나물)로 규정돼 있다. 전호는 본초강목에 따르면 담(痰)이 그득해 가슴과 옆구리가 답답하고 저린 것, 명치부위에 기(氣)가 뭉친 것, 풍두통(風頭痛)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특히 전호는 임상적으로 기침이 심한 감기나 천식 을 치료하는 한약처방인 삼소음, 인삼패독산 등을 구성하는 주요 약재이다.

이 같은 임상적 효능에도 불구하고 국내 생산량이 미미해 국내 자생종 자화전호 대신 수입산 백화전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에서 발표한 ‘2015년 수입한약재 통관실적’에 따르면 백화전호는 연간 약 19톤을 수입하고 있다.

연구팀 실험 결과 자화전호와 백화전호 모두 천식 증상 개선과 염증세포 침윤 억제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국내 자생종 자화전호가 객담 생성, 염증관련 세포 침윤 억제 등에서 중국산 백화전호보다 더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에서 실험쥐(mouse)를 정상군, 알레르기 천식을 유발한 대조군, 천식 유발 실험쥐에 자화전호와 백화전호 추출물을 각각 경구 투여한 2개 실험군으로 나눠 차이를 관찰했다.

관련기사



먼저 연구팀은 기도의 객담 생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폐 조직을 적출해 파스염색(PAS Staining)을 실시했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 객담이 자화전호 투여 시 90%, 백화전호 투여 시 82%씩 각각 감소했다.

이어 연구팀은 기도내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와 천식을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하기 위해 폐기도세척액을 채취해 세포염색법(giemsa staining)과 효소면역측정법을 각각 시행했고 실험 결과 기도내 천식 관련 염증세포인 호산구의 침윤 정도가 자화전호 실험군에서 75%, 백화전호 실험군에서 55%씩 감소됐다.

또한 천식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IL-4, IL-5, IL-13)이 자화전호 실험군에서 각각 60%, 84%, 87%, 백화전호 실험군에서는 47%, 77%, 8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책임자인 권보인 박사는 “이번 연구성과는 국내 자생 한약재인 자화전호와 중국산 백화전호가 천식 치료에 효과가 우수한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라며 “국내 자생 한약재의 생산을 촉진하여 농가 소득증대는 물론 올바른 한약재 소비 확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 농림축산식품부 부처 공동지원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Ethnopharmacology(약리학)’ 최신호에 게재됐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