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투자의 창] ‘경제 위기설’이 '설(說)’로 끝나는 이유

오태동 NH투자증권 연구위원오태동 NH투자증권 연구위원


“3월 위기설” “4월 위기설”

공포가 우리 주변을 떠나지 않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정책으로 미국 재무부가 중국과 한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유럽 선거에서 유럽연합(EU) 탈퇴를 주장하는 정당이 정권을 잡으면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이 와해될 것이라는 걱정도 커지고 있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라 중국과의 관계는 더 냉랭해질 수 있다. 그리고 북한의 극단적인 행동도 수위가 계속 높아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위기설은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특히 주식시장 투자자 입장에서 이러한 위기가 실제로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되면 무조건 피하고 보는 것이 상책이다. 그런데 과거에도 종종 위기설이 불거졌지만 실제로 발생한 경우는 많지 않다. 실제로 금융시장에 충격을 줬던 위기는 예고 없이 찾아왔던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위기설이 현실에서는 쉽게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위기설이 ‘설(說)’로 끝나는 가장 큰 이유는 대응 정책이 가동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위기라고 언급하는 것들은 현실 세계에서는 흔히 발생하지 않는 것들이다. 발생하면 충격이 매우 크지만 충격이 너무 큰 중대한 사안이기 때문에 위험이 통제돼 있는 경우가 많다.

관련기사



간혹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정책이 가동돼 발생 확률을 낮추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이 북한의 핵 위험에서 자유롭지 못하지만 평상시에는 핵 위험에 민감해하지 않는 이유도 정책을 통해서 북한의 핵 위험이 통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위기적인 상황에만 초점을 맞추면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위기가 발생할 것 같은 공포심 때문에 한국 주식시장이 저평가돼 있는 점이 기회이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경기회복을 위해서 여전히 돈을 풀고 있다. 중동 산유국은 공급 과잉을 해소하기 위해서 산유량을 줄이고 있고 중국도 과잉 산업의 구조조정을 지속 중이다. 그리고 지난해 말부터 기다리던 글로벌 경기회복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마치 자욱한 안개 때문에 주변이 보이지는 않지만 황소(강세장)의 목에 달려 있는 워낭소리가 들린다. 3월에도 이벤트가 많다. 미국 2018년 예산안 제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유럽 선거 등이 주식시장에 혼란을 줄 것이다. 혼란을 기회로 삼는 용기가 필요하다

오태동 NH투자증권 연구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