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썸inSNS] '희대의 사기꾼'을 꿈꿨던 괴짜 아티스트



‘이작가야’는 미술을 잘 알지 못하는 일명 ‘미알못’ 독자들을 겨냥해 만든 본격적인 작가 탐구 코너다. 최근에는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작가의 추모 11주기를 맞아 드라마 같은 일대기와 에피소드, 작품 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총 3부에 걸쳐 다뤘다. ‘이작가야’는 서울경제신문의 조상인 미술 담당 기자와 본인 주장대로라면 미술 빼고 잡다한 지식은 다 꿰고 있다는 탐사기획팀 강동효 기자가 꾸미는 프로그램이다.

백남준은 피아니스트 존 케이지에게 어떤 감명을 받았길래 평생 스승으로 삼았을까. 여류 첼리스트 샬롯 무어만에게는 왜 합성수지로 만든 투명 속옷을 선물했을까. 또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앞에서 그의 바지가 흘러내렸던 것은 실수였을까, 고의였을까. 이밖에도 알면 재밌고 모르면 손해라는, 백남준을 둘러싼 여러 일화들과 작품 세계가 ‘이작가야’ 안에서 흥미롭게 펼쳐진다.


‘예술이란 원래 사라지는 것’이라는 백남준의 생전 말처럼 그는 정말 이 세상을 예술처럼 살다 사라졌다. 동서양의 조화와 융합을 추구했던 그는 과거에 살았지만 현재의 위치에서 100년 뒤 미래를 내다본 명실상부한 한국이 낳은 세계적 비디오 아티스트다.

관련기사



그는 1960년대 플럭서스(Fluxus·국제적인 전위예술 운동)의 중심에서 그의 장난감과도 같던 ‘TV와 비디오’를 이용해 기상천외한 작품과 퍼포먼스를 쏟아냈다. 그가 ‘TV’라는 오브제에 집중했던 것은 전자 미디어가 우리 삶의 중심이 되어가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고찰한 데 따른 것이다. 기술 발전에도 인간이라는 본질과 그 중요성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은 그의 작품들은 요즘같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의 발전을 거듭하는 인공지능(AI)과 첨단 자동화 시대에 더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고 있다.

/강신우PD seen@sedaily.com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