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반드시 대가 치러야"…한국 화장품업계 '사드 리스크' 현실로

/출처=연합뉴스/출처=연합뉴스


중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한국 내 배치에 대한 경제보복이 거세지는 가운데 “반드시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8일(현지시간) 왕쥔성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세계전략연구소 연구원은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미 한반도 사드 배치가 시작됐다 하더라도 한국이 반드시 이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드는 기술적인 면에서 관측 범위가 중국 일부 지역의 군사 활동을 감시할 수 있고, 전략적 측면에서는 동아시아 전략균형을 깨뜨려 한반도 핵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왕 연구원은 “양국 고위층 간 교류 중단을 통해 우리의 사드 반대가 일시적이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해야 한다”며 “사드부지를 제공한 롯데를 비롯한 한국기업이 중국에서 경영활동을 할 수 없도록 하고, 관광업 등 한국의 대(對) 중국 의존이 큰 산업에 대해 정부 차원의 대응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구시보의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사드 여파가 관광, 유통업을 넘어 화장품 업계로도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천민 중국화장품망(中國化裝品網) 수석 에디터는 “한국 드라마와 K팝 등의 인기로 중국 내에서 한국 화장품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지만 사드 영향으로 이 같은 상황은 곧 반전될 것”이라 내다봤다.

또다른 중국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일본 화장품 브랜드 시세이도(資生堂)도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 문제로 중국인들의 불매운동에 부딪혀 사업에 위기를 맞았다”며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 화장품에 대한 신뢰를 잃을 것”이라고 글로벌타임스에 전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