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한약 현대화" 대구시·한약진흥재단, 한약제제 제조시설 건립 맞손

한약진흥재단(NIKOM)과 대구시가 손잡고 공공 한약제제 우수제조시설(GMP)을 건립하는 등 한약 현대화에 나선다.

한약제제는 한방 진료에 사용하는 한약이나 한약을 병증에 맞게 만든 복합처방제를 말한다.


신흥묵 한약진흥재단 원장과 권영진 대구시장은 14일 대구시청에서 GMP 구축 등과 관련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GMP 시설은 오는 2019년까지 대구시비 20억원 등 115억원을 투입해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내에 지상 2층, 연면적 3,000㎡ 규모로 짓는다.


한약제제가 국내외 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을 통한 안전성·유효성 확보와 제형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한약제제 산업은 품질에 대한 낮은 신뢰 탓에 수요자인 한방 병·의원의 사용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약사가 정제·연소엑스제·환제 등 고품질의 한약제제를 개발해도 수익 창출 및 투자비 회수가 어렵고 신제품 출시도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관련기사



실제로 국내 한약제제 연간 총생산액은 2,866억원 수준으로 일본의 대표적인 한약제제 업체인 쯔므라 연매출(1조원)의 30%에도 못 미친다.

이 같은 상황에서 GMP 구축은 한약제제의 안전성·유효성 검증 및 규격화·표준화 기반을 마련하고 민간투자를 촉진해 관련 시장 확대를 유도할 것으로 대구시 등은 기대하고 있다.

양측은 한약의 산업화 촉진을 위해 공공인프라 구축과 함께 첩약 중심에서 한약제제 중심으로 전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 밖에 양측은 임상시험용 한약제제 위약 개발·공급, 건강보험용 한약제제 원료의약품 생산·공급, 수출전략형 유망 한약제제(가정상비약)의 해외시장 진출 등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대구=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