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IoT 오픈하우스' 오픈…벤처 지원해 생태계 만든다

'IoT 오픈하우스'로 연 50개 서비스 출시 목표

전문인력 등 상주 지원

우수 아이디어 업체 선발 나서

'공익용 IoT 요금제'도 검토중

SK텔레콤이 벤처·스타트업의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돕기 위해 오픈한 ‘IoT오픈하우스’에서 SK텔레콤 직원과 벤처업체 관계자가 새로운 서비스 아이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이 벤처·스타트업의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돕기 위해 오픈한 ‘IoT오픈하우스’에서 SK텔레콤 직원과 벤처업체 관계자가 새로운 서비스 아이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이 사물인터넷(IoT) 분야 벤처·스타트업의 기술 개발·상용화를 지원하는 ‘IoT 오픈하우스’를 열었다고 19일 밝혔다. 이를 통해 연 50개 이상의 IoT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목표다.

IoT 오픈하우스는 135㎡ 규모로 회의실과 단말 개발 및 테스트룸, 교육장으로 구성됐다. 컨설팅과 품질검증지원을 위한 전문인력이 상주하며 기술 및 상용화 역량이 부족한 업체를 지원한다.

우선 SK텔레콤의 IoT 전용망과 연동 테스트를 진행 중인 7개 기업의 9개 제품을 상용화한다. 또 자사의 IoT 홈페이지(lora.sktiot.com)를 통해 우수한 아이디어를 가진 추가 업체 선발에도 나선다.


IoT 분야에 관심을 가진 업체들을 위한 교육도 진행한다. 교육은 분기마다 1회씩 정기적으로 실시되며, 교육과정은 IoT산업 및 기술의 이해, 단말 기술, 플랫폼 기술 및 사업화 사례 등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교육은 4월 말에 실시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IoT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한편 SK텔레콤은 더 많은 국민들이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미래창조과학부와 ‘공익용 IoT 요금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IoT 전용망인 ‘로라(LoRa)’를 활용해 저렴한 요금으로 쉽게 공공분야에서 IoT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검토 중인 공공 서비스는 어린이나 치매·독거노인 대상 응급 알림서비스, 사고 빈도가 높은 공공 시설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알람 서비스, 공영 주차장 관리 서비스 등이다.

차인혁 SK텔레콤 IoT사업부문장은 “SK텔레콤은 IoT 산업이 스타트업이나 벤처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성장해 나가길 바란다”며 “차세대 ICT의 핵심 분야인 IoT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