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충남도, ‘지식융합지구’ 조성 나선다

한계 달한 제조업 중심 산업 혁신…새로운 성장동력 만든다

남궁영(사진 오른쪽에서 세번째) 충남도 행정부지사가 지식융합지구 조성전략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충남도남궁영(사진 오른쪽에서 세번째) 충남도 행정부지사가 지식융합지구 조성전략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충남도


충남도가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덕연구개발특구 등과 같은 ‘지식융합지구’ 조성에 나선다.

충남도는 21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남궁영 충남도행정부지사 등 1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충남 산업 발전을 위한 지식융합지구 조성 전략’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충남도는 지식융합지구 조성을 통해 도내에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나 경기 판교테크노밸리에 버금가는 ‘혁신 플랫폼’을 구축, 한계에 다다른 제조업 중심의 충남 산업을 혁신하겠다는 복안이다.

지식융합지구는 향후 충남형 지식 융합을 위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 구축과 충남 주력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지역 맞춤형 지식 융합을 위한 스마트 혁신 플랫폼’으로 기능하게 된다.

충남도는 ▦광역 기업 지원 거점 조성 ▦충남 산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체계적 R&D 강화 ▦충남경제비전2030 실현을 위한 광역적 전략 거점 마련 ▦충남 경제 성장 정체 극복을 위한 산업생태계 조성 필요성에 따라 지식융합지구를 조성키로 하고 지난해 6월부터 연구용역을 추진해 왔다.


연구용역을 맡은 산업연구원은 이날 최종보고를 통해 지식융합지구의 역할로 ▦지식생태계와 연계한 대기업-중소기업 상생 발전 도모 ▦글로벌 1등 제품 개발 ▦창업 및 융복합 신제품 개발 등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4대 육성 전략으로는 ▦대·중소기업 상생 강화 ▦산학융합 플랫폼 구축 ▦시장 연계 플랫폼 구축 ▦지역 정주형 우수 인력 양성 허브 구축 등을 내놨다.

8대 정책과제로는 ▦ICT 융복합 R&D센터 구축 ▦충남지식융합진흥원 설립 ▦인재교류 산학융합플라자 조성 ▦혁신사업화 멘토링센터 구축 ▦원스톱 기업지원서비스센터 설립·유치 ▦HW엑셀러레이터 유치 및 육성 ▦제조혁신 인재 양성 연합 캠퍼스 조성 ▦연구원용 레지던스랩 구축 등을 제시했다.

지식융합진흥원은 지식융합 컨트롤타워 및 첨단산업단지에 대한 효율적 관리·운영 기구 설립 필요성에 따른 것이며 기업 지원 네트워크 허브 기능과 전략 기획형 상시적 사업 발굴 시스템 구축, 수요 맞춤형 비즈니스 서비스 지원 등의 역할을 맡게 된다.

지식융합지구내 도입 가능한 시설은 앵커·창업·유통기업, 부품 상가, 3D프린팅 센터, 스타트업 센터, 마케팅 기업, 창업 지원 기관, 글로벌 R&D 기업, 인공지능·ICT 융합·빅데이터·웨어러블·지능형 자동차 부품·드론·IoT·수소차 연구시설 등이다.

남궁영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지식융합지구는 충남의 지리와 산업적 강점을 결합해 지역 산업의 다각화 방안을 찾고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 내기 위한 것”이라며 “연구용역 결과에 전문가 의견을 더해 지식융합지구 조성 방안을 모색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성=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