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더 쥐어 짠다 "생산직 포함 全 직원 임금 반납"

올해 말까지 인건비 6,400억원 목표

전년 8,500억원 대비 25% 추가 감축

플로팅 도크·해상크레인도 매각키로

‘1조8,500억원→5조3,000억원→6조원→6조원+α’

대우조선해양에 투입하는 정부 지원 규모가 늘어 날수록 대우조선 자체 자구안 규모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23일 정부는 2조9,000억원 규모의 대우조선해양 추가 자금 투입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에 상응하는 자구 노력을 강도 높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은 2015년 10월 청와대 서별관 회의에서 4조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할 당시 1조8,500억원의 자구 계획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듬해 3조4,500억원 추가 자구안을 내놓았고, 2조8,000억원의 자본확충이 이뤄질 때 7,000억원을 더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번에도 추가 자구 노력을 병행하기로 했다. 우선 현재 사무직 인력에 적용되고 있는 임금 반납과 무급 순환 휴직을 생산직 인력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 본지 3월21일자 1면 참조


사무직 인력은 현재 10~15% 급여 반납(임원은 20~30%)과 무급 순환휴직을 실시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임금 반납과 무급 순환휴직을 전 직원으로 확대해 지난해 대비 인건비를 25% 추가 감축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지난 2015년 1조1,400억원 규모였던 인건비는 올해 6,400억원까지 줄어들게 된다.

관련기사



1만명 수준으로 줄어든 직영 인력도 2018년 상반기까지 9,000명 아래로 줄이기로 했다. 당초 계획은 2018년 말까지 8,000여명 수준으로 인력 규모를 줄이는 것이었는데, 시기를 더 앞당긴 것이다.

이와 함께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해상 선박 건조대) 3개와 3,800t급 해상크레인 2대 등 생산 설비도 추가로 매각 대상에 포함 시켰다. 대우조선해양은 5개 플로팅 도크 가운데 2개를 매각해 3개를 운영하고 있는데, 나머지 도크도 처분하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자구계획의 조기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대우조선해양은 기존에 내놓은 자구안 이행률이 27% 수준으로 조선 3사 가운데 가장 낮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