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중학교 ‘총검술’가르친다…교육칙어 이어 ‘교단군국주의’ 강화

우익 정치인들 입김…체육의 ‘무도’ 중 선택과목에 총검술 포함

벚꽃이 만개한 일본 도쿄 한 공원에서 방문객이 일장기를 흔들고 있다./도쿄=AP연합뉴스벚꽃이 만개한 일본 도쿄 한 공원에서 방문객이 일장기를 흔들고 있다./도쿄=AP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제국주의 시대 군인들이 배우던 총검술을 중학교에서 선택과목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했다.


제국주의 시대의 상징인 ‘교육칙어’를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허용한 데 이어 아베 신조 정권의 교단 군국주의화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는 분석이다.

5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달 31일 확정된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에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체육의 ‘무도’ 중 선택과목으로 총검술을 포함시켰다. 일본 정부는 앞서 지난 2012년 무도를 중학생이 꼭 배워야 할 과목에 포함시켰다.

당초 지난 2월 고시한 안에는 유도, 검도, 스모로 한정됐던 무도의 선택 과목에 궁도(활쏘기), 합기도, 소림사권법을 추가하는 내용이 담겼었지만, 지난달 확정된 최종안에는 기습적으로 총검술이 더 들어갔다.


이에 따라 일선 중학교에서는 학교의 방침에 따라 여러 무도 과목 중 총검술을 선택하는 경우 학생들에게 이를 가르칠 수 있게 됐다. 총검술은 나무 총을 사용해 상대의 목이나 몸통 등을 찌르는 기술을 겨루는 경기다.

관련기사



오래전부터 일본에 있던 전통적인 창술이 기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제국주의 시절 일본군의 훈련에 사용돼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일본이 패전한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는 총검술 등 무도를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보고 금지했다.

총검술이 교과목에 포함된 것에는 우익 정치인들의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총검도연맹의 각 지역 회장에는 여당 자민당 의원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나 이나다 도모미 방위상도 연맹 임원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내에서는 총검술 자체에 대해 자위대의 전투 기술이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실제로 총검도연맹측에 따르면 총검도 경기 인구 3만명 중 90%가 자위대 요원이다.

일본 정부는 이와 함께 제국주의 시대에 암송되던 교육칙어를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학생들이 일찌감치 학교에서 군국주의적 사고를 몸에 익히도록 하려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대해 일본 언론으로부터도 ”개인보다 국가를 우선시하는 사상인 교육칙어 복권을 허용할 수 없다“(도쿄신문), ”교육칙어가 군국주의 교육을 조장할 것“(마이니치신문) 등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