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中企 CEO 90% "대·중기 양극화, 가장 큰 사회문제"

중기중앙회 300명 대상 설문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를 우리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CEO 300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21일부터 28일까지 실시한 ‘중소기업 CEO의 사회갈등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CEO 10명 중 9명(89.3%)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로 인한 사회 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소득계층 양극화(87.3%) △지역불균형 성장(85.0%) △정치이념 대립(83.3%) △근로형태(정규직·비정규직) 격차(77.3%) △불공정한 계약문화(74.0%) 순으로 조사됐다.


또 전반적인 사회갈등 수준이 심각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83.7%로 5년 전 74.6%과 비교해 9.1%포인트 증가했다. 중소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매출감소(42.3%)’, ‘설비투자 및 신규사업진출 포기(33.7%)’ 등의 순으로 답해, 사회갈등이 기업 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기업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중소기업 CEO의 71.0%는 향후 우리나라 갈등 수준이 심화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소득불균형 해소(56.0%)’와 ‘시장의 공정성 확립(39.3%)’ 등을 꼽았다. 양극화 해소와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을 위한 정부의 제도 개선, 정책 입안이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또한 응답자의 76.0%는 ‘중소기업 중심의 바른 시장경제 구축’이 사회갈등 해소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응답했다. 김경만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대·중소기업 양극화, 지역불균형 성장 등 여러 사회갈등으로 인해 기업의 경영상황은 더욱 어려워졌다”며 “중소기업이 주축이 돼 성장과 분배가 조화를 이루는 ‘바른 시장경제’ 구축이 사회갈등 해소를 위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