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떨어질 줄 모르는 달걀·닭고기 값…생활물가 상승률 5년2개월 만에 최고치

농축산물 가격이 수개월째 오르는 가운데 지난달 생활물가 상승률도 5년 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설 연휴 이후 하향 안정세를 이어가던 계란 평균 소매가(30개들이 특란 기준)는 지난달 중순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해 지난 5일 7,509원까지 뛰었다. 이는 한 달 전 가격인 7,314원보다 200원 가까이 오른 가격으로, 1년 전 가격인 5,202원보다는 2,000원 이상 급등한 것이다.

이와 함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 여파로 급등한 닭고기 가격도 내려가지 않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육계 생계 1㎏ 시세는 지난 3일 기준 1,5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00원보다 50% 가까이 올랐다. 육계 생계 시세는 3월 초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2,200원까지 올랐다가 최근 닭 농가에서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1,500원까지 떨어졌다.

관련기사



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 가격은 여전히 비싸다. 육계 가격은 당분간 떨어지지 않고 지속될 전망이다. 발생 4개월여가 지나도록 종식되지 않은 AI의 영향으로 병아리 입식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번 오른 채소값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aT 집계 기준으로 무 1개 가격은 2,124원으로 평년(1,321원)보다 60.8%나 비싸다. 배추도 1포기에 3,918원으로 평년(3,101원)보다 26.3% 비싸다. 양파 1㎏ 가격은 2,623원으로 평년(1,967원)보다 33.4% 높고, 깐마늘 1㎏ 가격도 9,857원으로 평년(7,735원)보다 27.4%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당근, 양배추, 대파 등의 가격도 평년보다 53~77%나 올랐다.

이런 영향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2.2%나 오르며 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지난 4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2% 상승했으며, 농·축·수산물 물가는 물론 도시가스 등 연료비 가격도 오르면서 생활물가 상승률 역시 5년2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