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삼성SDS, 자체 개발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시장 공략 나서

홍원표 삼성SDS 솔루션사업부문장(사장)이 6일 서울 잠실 삼성SDS타워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비스 미디어 설명회에서 삼성 SDS 블록체인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SDS홍원표 삼성SDS 솔루션사업부문장(사장)이 6일 서울 잠실 삼성SDS타워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비스 미디어 설명회에서 삼성 SDS 블록체인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SDS




삼성SDS가 블록체인 플랫폼과 솔루션을 출시하고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삼성SDS는 6일 서울 잠실 삼성SDS타워에서 열린 블록체인 서비스 미디어 설명회에서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Nexledger)’와 블록체인 신분증(DI), 블록체인 지급결제(SGP) 서비스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블록체인은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내역이 전송돼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고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을 수 있게끔 설계됐다. 낮은 비용으로 외부 거래를 내부 거래와 비슷한 수준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고 거래 효율성과 보안성 확보가 가능해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차세대 보안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삼성SDS가 공개한 넥스레저는 다양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탑재해 사용할 수 있는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오픈 소스 사용으로 블록체인 기술 발전에 따라 얼마든지 진화가 가능하고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들에 비해 리드 타임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실시간으로 거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솔루션 탑재가 가능해 추가 솔루션 개발에 따라 현재 삼성SDS가 주력하고 있는 금융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영역으로 확대가 가능하다.

관련기사



삼성SDS는 넥스레저를 통해 제공할 ‘블록체인 신분증(DI)’과 ‘블록체인 지급결제 서비스(SGP)’도 선보였다. DI와 SGP를 이용하면 스마트폰에 신분증 정보를 한번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금융기관별 별도 인증 절차 없이 금융거래가 가능하며 스마트계약과 실시간 대량 거래, 관리모니터링까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삼성SDS는 이날 생체인증 넥스사인(Nexsign) 솔루션을 넥스레저에 접목한 인증 서비스도 공개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모바일 기기 사용자는 한 번의 본인 인증을 통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추가 인증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생체인증 정보는 블록체인으로 암호화돼 안전하게 저장된다.

삼성SDS는 이미 지난해 10월부터 삼성카드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월 전자문서 원본확인 서비스를 시작했고, 현재 블록체인 신분증을 응용한 제휴사 회원인증 서비스를 적용 중이다. 앞으로 제휴사 간 포인트 통합 거래를 위한 ‘디지털 포인트 스왑(SWAP)’ 등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추진할 예정이다.

삼성SDS 홍원표 솔루션사업부문장(사장)은 “넥스레저를 금융뿐 아니라 다른 산업으로 확대하고, 신규 시장 창출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