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9년 부양책 끝났다"...연준, 하반기부터 자산 축소

지난달 FOMC서 공감대 형성

금융시장 예상시기보다 빨라

글로벌 금융시장 후폭풍 예고

자산축소 구체안은 내달 논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하반기부터 4조5,000억달러에 이르는 채권 등 보유자산 규모를 줄인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한 초저금리와 양적완화(QE) 등 부양책이 완전히 끝났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행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에 적잖은 후폭풍이 예상된다.

5일(현지시간) 연준이 공개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 따르면 위원들은 보유자산 재투자와 관련한 연준의 보고를 받고 올해 말께 자산축소 정책을 펴는 것이 적절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회의록은 “경제가 예상 경로대로 움직이고 있어 참가 위원 대부분은 기준금리의 단계적 인상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면서 올 하반기 보유자산 재투자 정책을 바꾸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명시했다.


2015년 12월 제로금리 정책을 탈피한 연준이 통화정책 정상화의 2단계에 해당하는 보유자산 축소시기를 공식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2월 중순 차기 FOMC에서 자산 축소 방안 등을 논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연말 보유자산 축소 개시 방침에는 내년 2월 임기가 끝나는 옐런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연준은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2009년 초부터 세 차례에 걸친 양적완화를 단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2008년 3월 9,000억달러였던 보유자산 규모가 현재 4조5,000억달러까지 불어난 상태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연준의 자산규모 축소가 9년여에 걸친 경기부양책의 끝을 알리는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연준은 구체적인 자산축소 방법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한 상태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이 보유자산을 직접 매각하기보다 국채 만기도래분 또는 조기상환분의 재투자를 종료하는 점진적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과거에도 연준이 보유자산을 직접 매각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고 금리 상승기에 자산 매각에 나서면 손실을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연준 보유자산의 40%가량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부채권(MBS)은 최종상환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매각을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위원들은 다음달 2~3일 열릴 FOMC에서 자산규모 축소방식을 논의할 예정이다.

연준의 자산축소가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에 대한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연준의 대규모 자산은 장기적인 금리 하락 요인으로 작용해온 만큼 자산이 줄기 시작하면 국채금리 상승에 속도가 붙으면서 미국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금융시장은 연준이 내년 중반께 자산규모 축소를 시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기 때문에 충격은 더욱 클 수 있다.

한편 연준은 지난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경기부양 정책 효과가 “상당히 불확실”하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위원들은 트럼프 정부의 부양책이 내년쯤에나 시행될 것이라며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이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멕시코 장벽 건설 정책 등은 경제에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손철특파원 runiron@sedaily.com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