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임종룡 “대우조선 채무조정 실패 대비 P플랜 준비 마쳤다”

"최종 성패는 기관 투자자들에 달려"

임종룡 금융위원장임종룡 금융위원장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대우조선해양의 채무재조정 성사를 위한 배수의 진을 쳤다. 실패 시 P플랜(Pre-Packaged Plan)에 돌입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이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는 것이다.

임 위원장은 6일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16차 핀테크 데모데이 참석에 앞서 기자들을 만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자율적 구조조정이 잘 마무리되길 기대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P플랜이 불가피하다”며 산업은행·수출입은행·대우조선이 관련 전문가와 P플랜을 준비 중이며, 준비가 사실상 마무리됐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채무재조정의 관건으로 오는 17일과 18일로 예정된 사채권자 집회에 주목했다. 임 위원장은 “대우조선 노사 간 합의가 됐고 시중은행의 합의도 예정돼 있기 때문에 결국 최종적으로 남은 성패는 사채권자들, 특히 기관투자자들이 갖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우조선이 어떤 식으로 정리될 것인지, 어떤 정상화 목표가 있는지가 다 제시됐기 때문에 사채권자는 어떤 선택이 경제적 실익이 클지 스스로 판단하면 된다”고 했다. 그는 “아무쪼록 기관투자자들이 현명하게 판단해 대우조선의 정상화가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대우조선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대우조선 노동조합의 임금 삭감 △시중은행의 채무 재조정 합의 △회사채 투자자의 채무 재조정 합의 등을 신규자금 2조9,000억원 지원의 조건으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임 위원장은 “(사채권자와 시중은행 사이에서) 현재 이슈가 되는 산은의 대우조선 지분 추가 감자나 출자전환 가액을 낮추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이라며 “나머지 이슈는 최선을 다해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당국은 이같은 원칙에 따라 수출입은행이 갖고 있는 대우조선 영구채 금리를 3%에서 1%로 낮추는 방안을 시중은행 등에 제시했다.

대우조선 노사의 합의에 대해서는 “노사 간 어려운 과정을 거쳐 합의한 점을 정부로서 높이 평가한다”며 “일치된 노력이 대우조선 구조조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