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국인 빠진 포상 관광시장, 관광객 다변화로 빈자리 채운다

지난해 대비 中 포상관광객 65% 감소

동남아, 유럽, 남미 관광객 유치 집중

서울 명동을 방문한 관광객/연합뉴스서울 명동을 방문한 관광객/연합뉴스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대규모 포상(인센티브) 관광시장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에 관광업계는 중국인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동남아와 유럽·미주 시장으로 다변화할 방침이다.


7일 한국관광공사는 올해 들어 3월 말까지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단체 포상관광객은 약 1만 명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인 2만 9,000명보다 65% 감소한 수치다.

중국이 사드 배치에 반발하여 ‘한국 관광 금지령’을 내린 이후 예정됐던 포상관광 일정이 전면 보류되면서 관광객 수가 줄어든 것이다.

당국의 애초 목표는 올해 중국인 12만 명을 포함한 총 30만 명 이상의 포상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이었으나 사드 보복으로 인해 목표 달성은 사실상 물 건너간 상황이다.

이에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중국인 포상관광객 규모가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다른 지역을 통해 작년 실적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실제 무슬림과 동남아시아권 단체 관광객의 한국 방문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관련기사



지난 1월에는 현대차 인도판매법인 직원 445명이 기업회의 참석차 한국을 방문했다.

2월에는 인도네시아 화장품 판매회사인 MCI(Millionaire Club Indonesia)의 임직원 1,154명이 방문했다. 이는 그동안 인도네시아에서 온 포상 방한 단체 관광객 중 최대 규모였다. 이들은 경복궁 등을 둘러보고 평창 스키체험 등을 하는 4박 5일 일정을 소화하고 돌아갔다.

오는 15일에는 대만 보험회사인 ‘삼상미방생명보험(三商美邦人壽)’ 포상 단체관광객 3,000명이 입국한다. 이 또한 대만에서 오는 포상 단체관광객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이다.

6월에는 대만 현지에서 대규모 마이스(MICE) 관광 유치 행사를 열 예정이다.

그 외 일본, 유럽과 남미 지역 단체 관광객 유치도 성과를 내고 있다.

5월 중 독일 관광객 250명의 제주 방문이 추진 중이다. 6월에는 일본의 대형 통신판매회사인 샤를레의 포상 관광단 4,000여 명이 전세 크루즈선을 타고 제주를 찾을 예정이다.

한국관광공사는 다국적기업의 기업회의 유치를 협의하는 등 동남아 등으로의 포상 단체관광객 시장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