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프리미엄 가전 힘입어 LG전자 1Q 영업이익 9,215억…8년 만에 최대(종합)

LG전자가 1·4분기 성적으로는 역대 최대의 영업이익과 매출액을 기록하며 모처럼 웃었다. 가전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전략이 유효했고 스마트폰 사업의 적자 폭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LG전자는 1·4분기에 9,21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82.4%나 증가한 것으로 역대 2번째로 높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9년 2분기(영업이익 1조1,300억원) 이후 약 8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1·4분기 매출액은 14조6,605억원으로 작년 1·4분기에 비해 9.7% 늘었다. 전 분기에 353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던 것을 고려하면 극적인 반전이다.

이는 시장 전망치도 훌쩍 뛰어넘는 것이다. 전날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은 매출 14조4,010억원, 영업이익 5,873억원이었다.


실적 개선 요인으로는 TV와 가전제품의 수익성 유지와 스마트폰 사업의 적자 폭 감소가 꼽힌다. 통상 ‘가전 비수기’로 불리는 1·4분기에도 LG전자는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수익성을 끌어올렸다. 최대 수천만 원에 달하는 초프리미엄 통합 브랜드 ‘LG 시그니처’와 빌트인 브랜드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글로벌 시장에 출시했다. 트윈워시 세탁기, 매직스페이스 냉장고 등도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관련기사



TV 부문에서는 최상위급인 올레드(OLED) TV와 차상위급인 나노셀 TV로 ‘쌍끌이 프리미엄’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특히 올레드 TV 판매 비중은 2015년 5%에서 작년에 10%를 넘기더니 올해는 1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대수를 팔아도 프리미엄 제품은 수익성이 훨씬 높은 만큼 LG전자는 앞으로도 프리미엄 제품군을 중심으로 수익성을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2015년 2·4분기부터 7분기 연속 적자를 냈던 스마트폰 사업부인 MC사업본부도 이번에는 적자 폭이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MC사업본부는 작년 하반기에 인력 조정과 사업구조 개편 작업을 단행했다. 이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포함돼 작년 4분기에는 4,670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다만 지난 3월 10일 출시된 전략 스마트폰 G6는 실적을 아직 가늠하기 이른 상황으로 G6 흥행 성적에 따라 2·4분기 실적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LG전자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는 자동차 전장 부문인 VC사업본부도 몸집을 키우고 있다. 선행 투자가 들어가다 보니 적자를 벗어나진 못했겠지만, GM ‘쉐보레 볼트 EV’ 판매 호조와 수주 증가 등에 힘입어 매출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