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 앞장서는 경남도

219개 읍면동 주민센터 '허브화'

전기자동차 82대 등 보급키로

경남도는 연내에 도내 219개 읍면동 주민센터를 복지허브화 한다고 11일 밝혔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복지 사각지대 해결을 위해 각 지역별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합사례관리 등 맞춤형 복지를 현장에서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경남도 관계자는 “사회복지 예산이 지속적으로 늘어났지만 복지 체감도는 낮고 고독사·아동학대·경제적 위기로 인한 자살 등 실질적인 효과가 낮고 사각지대가 엄연히 존재했다”며 “어려운 계층이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도움을 요청해야 지원에 나섰던 소극적 대응에서 벗어나 공무원이 직접 사회적 약자층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적극적인 복지 패러다임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도는 총 315개 읍면동 중 지난해 말까지 105개 읍면동에 복지 허브화 조직을 갖췄다. 올해 114개 읍면동에도 설치해 총 219곳으로 늘리고 나머지는 내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특히 도는 복지허브화 시행지역 중 복지차량 보급을 희망한 125개 읍면동에 전기자동차 82대와 가솔린차량 43대를 지원해 저소득층·취약계층에 찾아가는 복지상담과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홍민희 경남도 복지보건국장은 “읍면동 복지허브화 확대 시행으로 한층 밀도 있는 현장밀착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해 도민이 체감하는 맞춤형 복지가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