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담배 연기에 1등급 발암물질 7개

전자담배 피울 때 발암물질

액상 니코틴의 19배까지 ↑

식약처, 일반·전자담배 40종 분석





국내에서 판매되는 담배(궐련) 연기에서 암을 유발하거나 그럴 것으로 의심되는 물질이 12개나 검출됐다.


또 전자담배를 피울 때 액상 니코틴이 가열·산화되는 데 이 과정에서 일부 발암물질의 함량이 제품에 따라 최대 19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1일 국내 유통되는 국산·외산 궐련 5종과 전자담배 35종의 유해 성분을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했다.

식약처는 이날 담배 독성에 관한 정보를 처음으로 공개한 데 이어 유해성분별 인체 영향을 조사해 올해 말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의 공식 조사결과인 만큼 건강보험공단이 담배제조·수입 업체들을 상대로 제기한 담배소송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권련에서는 국제암연구소(IARC)가 포름알데히드·벤젠 등 1등급 발암물질 7종과 사람에게 암을 유발한다는 근거가 충분하게 축적되지 않은 아세트알데히드·스티렌·이소프렌 등 발암가능(2B등급)물질 5개 등 총 12종의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관련기사



담뱃갑에 성분명만 표시된 9개 성분과 카르보닐류·유기화합물·페놀류 등 총 45개 성분의 연기 중 함량은 해외 유통 담배와 비슷했다.

전자담배를 10회 흡입(액상 기준 0.04∼0.05g)했을 때 일반 담배 1개비를 피운 것으로 환산하면 전자담배의 연기 중 니코틴 함유량은 0.33∼0.67㎎으로 일반 담배(타르 4~5㎎ 함유)와 유사한 정도였다. 하지만 일부 전자담배 제품에선 궐련 연기에 포함된 것보다는 적지만 포름알데히드와 아세트알데히드가 액상 상태일 때보다 연기 상태에서 각각 최고 19배, 11배 높게 검출돼 품질관리·검사기준 마련 필요성이 제기됐다.

1등급 발암물질은 포름알데히드와 벤젠, 1-아미노나프탈렌, 2-아미노나프탈렌, 1,3-부타디엔, 벤조피렌, 4-아미노비페닐이다. 단열재나 접착제에 많이 쓰이는 포름알데히드는 대표적인 발암물질로 노출되면 사람의 피부와 점막을 자극해 인두염·기관지염·어지럼증·질식 등을 일으킨다. 벤젠은 가솔린 첨가제·접착제 등에 쓰이며 고농도로 접촉하면 신장·간·소화기계·피부에 독성이 퍼져 발작혼수상태에 빠지고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백혈병 등에 걸릴 수 있다. 1,3-부타디엔은 합성고무 같은 화학제품 원료로 눈·피부·호흡기 등을 자극하고 고농도로 노출되면 어지럼증·질식 증상이 나타난다.

2B등급 발암물질인 카테콜은 혈액의 산소 운반능력을 떨어뜨려 호흡곤란·사망까지 부를 수 있다. 스티렌, 이소프렌, 아크로니트릴 등은 중추신경계를 마비시킨다.

한편 국회에는 담배제조·수입업자가 유해성분을 분석해 당국에 보고하고 국민에 공개하도록 하는 담배사업법과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이 제출돼 있다. 법안이 통과되면 1~2년 뒤 시행되며 세부 기준은 식약처 고시 등에서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