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N포세대' 정신건강도 악화됐다…男 '우울증'-女 '술·담배 의존'



‘N포세대’ 청년들의 정신건강이 최근 5년 사이 눈에 띄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남자는 5년 전보다 우울증을 더 많이 경험하게 됐으며 20대 여자는 술과 담배에 더 의존하게 됐다.


12일 보건복지부의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18∼29세(이후 20대로 칭함) 남자의 ‘주요 우울장애’(우울증) 일년유병률은 2011년 2.4%에서 2016년 3.1%로 증가했다.

우울증은 2주 이상 거의 매일 우울한 기분, 흥미 상실, 식욕·수면 변화, 피로, 자살 생각 등으로 일상생활 및 직업과 관련해 곤란을 겪는 질환을 말한다. 일년유병률은 지난 1년 동안 한 번 이상 특정 질환을 겪은 적이 있는 사람의 비율이다.

20대 남성의 우울증 증가는 성인 남자(18∼64세)의 우울증 유병률이 같은 기간 1.8%에서 1.2%로 떨어지고, 여자도 4.2%에서 1.9%로 하락한 것으로 미뤄볼 때 특이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를 총괄한 홍진표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이번 조사 결과는 전체 자살률은 떨어지는데 20∼30대 자살률이 증가하고 있는 경향과 젊은 세대의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들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20대 여성에게서는 과다한 음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지속적으로 술을 먹는 ‘알코올 사용장애’가 증가했다. 20대 여성의 경우 일년유병률은 2011년 5.7%에서 2016년 6.9%로 커졌는데 이는 동년배 남자 일년유병률이 6.9%에서 5.7%로 줄어든 것과는 상반된다. 또 성인 전체의 일년유병률이 2006년 5.6%, 2011년 4.7%, 2016년 4.1%로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과도 반대되는 모습이다.

20대 여성은 담배 의존도 또한 높은 편이었다. 니코틴 중단으로 인지적, 신체적, 행동적 부적응 증상을 보이는 ‘니코틴 사용장애’ 유병률은 여성 그룹 가운데 20대가 1.1%로 가장 높았다.

젊은 여성의 알코올, 니코틴 사용장애는 스트레스 해소 목적으로 술과 담배를 이용하는 여성들이 예전보다 많아진 것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홍 교수는 “이번 조사에서는 20대의 정신질환 증가 문제가 유의미하게 드러났다”면서 “20대를 위한 알코올 예방 정책, 금연 지원 사업 등 정신건강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