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연중기획 Safe Korea] "생활 속 실천"…안전문화운동 개편도 필요

공공기관 주도 이벤트 벗어나야

최근 강원도를 여행한 A씨는 식당에서 어이없는 일을 겪었다. 가족과 함께 저녁을 먹은 뒤 차에 오르기 전 그는 차량 주위를 한 바퀴 돌며 살폈다. 주차장에서 나가기 위해 후진할 때는 비상등도 켰다. 그러자 식당 주인은 대뜸 “주차장에 다른 차나 사람도 없는데 너무 꼼꼼한 것 아니냐”고 핀잔을 줬다. A씨는 항상 차에 타기 전 주변을 둘러보고 최대한 안전에 유의한다고 기자에게 말했다.

A씨의 설명이 틀리지는 않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에 따르면 후진사고로 지난 2010년 이후 연평균 63명이 사망했다. 그중 9%는 운전자 가족이었다. 수치적으로는 뒤가 잘 보이지 않는 화물차의 사고율이 59%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승용차도 마찬가지다. 주차장에서 갑자기 뒤로 튀어나오는 차 때문에 놀란 기억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생활 속 안전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기본부터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우리 국민이 주로 당하는 사고는 거대한 재난이 아니다. 일상의 소소한 잘못으로 ‘아차’하는 순간 큰 사고를 맞게 되는 것이다.


곧 여름철이다. 물놀이 사고는 가장 체력이 왕성한 10~20대가 많이 당한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2015년 물놀이 안전사고로 36명이 사망했는데 10대가 13명, 20대는 9명이었다. 또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아이들의 사고 장소로는 집(59%)이 가장 많았다.

관련기사



안전의식을 각자 체화하기 위해서는 안전문화운동의 대대적인 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금까지 안전문화운동은 대부분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전시성 홍보나 이벤트로 추진됐다. 안전처 관계자는 “이벤트가 이벤트 자체를 위해 존재했던 경향이 있다”며 “생활 속에서 실천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해졌다”고 전했다. 이어 “구체적인 과제를 명시하고 얼마나 어떻게 달성하는지 하나하나 챙기는 자세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안전처는 올해 새로운 안전문화운동의 핵심 수단으로 세 가지를 제시했다. △안전점검 △안전교육 △안전신고다. 주요 위험요인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철저히 점검하며 교육 대상에 따라 차별화된 맞춤교육을 실시하고 위험신고 문화 확산 및 즉각적 처리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위법사항에 대한 엄격한 단속도 필요하다.

안전은 비용이나 규제가 아니라 미래세대와 성장을 위한 당연하고 긴급한 투자라는 인식이 안전문화운동 정착의 필요충분 요소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