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파이낸셜 포커스-연이은 대형악재 겹친 BNK] 급팽창 후유증…R 이장호 트라우마? 코너에 몰린 성세환

엘시티 특혜대출 논란 이어

주가조작 혐의까지 휩싸여

유증시기 오비이락 해명에도

경영진 책임론 계속 불거져



BNK금융지주가 지난해 엘시티(LCT) 특혜대출에 이어 이번에는 주가조작 혐의까지 받고 있는 가운데, 최근들어 BNK금융지주의 잇따른 악재가 우연에 의한 사건이 아니라 경남은행 인수 과정에서 과도한 자산 확장 정책의 부작용이란 관측이 나온다. 타 지방은행이 저성장의 늪에 빠진 것과 달리 부산은행이 경남은행 인수 등을 염두에 두고 자산팽창 정책을 쓰면서 이에 대한 후푹풍이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게다가 이장호 전 금융지주 회장이 금융당국의 사정권에 들면서 맥없이 물러난 ‘이장호 트라우마’까지 겹치면서 BNK경영진이 더욱 정치권과 결탁하는 계기가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지주는 타 지방은행 실적이 주춤할 당시에도 고도 성장 흐름을 이어갔다. 부산은행의 자산성장률은 8%를 웃돌았는데 이는 경기침체 파고가 깊숙이 침투한 시중은행들에 비해 많게는 배에 없는 성장을 이어왔다. 과도한 팽창적 자산 관리 정책을 띠면서 호실적으로는 이어졌지만 제대로된 리스크 관리를 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구나 이장호 트라우마까지 겹쳐 정치권과 결탁을 강화하면서 대형 게이트에 휩쓸린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금감원은 최근 BNK금융이 지난해 초 실시한 유상증자 과정에서 시세조정 혐의 여부를 조사했다. BNK금융은 지난해 1월 유상증자 발행가격 확정을 앞두고 부산은행을 통해 300억원을 대출했고 엘시티 시행사 임원 등 16명은 이 대출금 중 30억원을 BNK금융 주식매입에 썼다는 게 금감원의 조사 내용이다. BNK금융은 유상증자 최종 가격이 결정되는 기간 동안 이들에게 주식 매입을 지시해 주가를 부양하려고 했다는 의혹이다. BNK금융은 국제경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을 올리기 위해 지난 2015년 11월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2019년 강화되는 BIS 규제에 대비하기 위해서였지만 시장의 반응은 차가웠다. 유상증자 발표 이후 1만2,000원대 주가는 8,000원까지 하락하면서 유상증자 금액도 감소했다. 주가가 유상증자신주발행가격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지난해 1월6~8일까지도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면서 BNK금융은 주가 부양을 위해 일부 엘시티 시행사 임원 등에게 주식 집중 매입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BNK는 이에 대해 엘시티 대출과 유상증자는 시점이 겹치면서 생긴 ‘오비이락’으로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BNK금융 관계자는 “부산은행에서 엘시티에 대출한 300억원은 운전자금 성격으로 안다”면서 “전형적인 기업 대출로 그 중 30억원이 주식 매입으로 쓰였는지를 BNK에서는 알 수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이어 “300억원을 대출해주고 그 중 30억원으로 시세조정을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엘시티에 대출한 30억원으로 시가총액 2조8,400억원대의 주가를 조작할 수 있는지 현실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다만 지난해 말 1조원대 엘시티 특혜대출에 이어 금융당국의 시세조정 조사까지 겹치면서 BNK 경영진의 리더십이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검찰의 엘시티 수사와 연장선상에서 BNK경영진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가조작을 접근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면서 “하지만 연이은 악재로 현 경영진의 리더십에 대한 타격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