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국 女 고용률 OECD 평균 못 미쳐

지난해 女 고용률 56.2%

회원국 중 7번째로 낮아

우리나라 여성 고용률이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과 출산, 육아 등을 거치면서 경력이 단절되는 ‘경단녀’ 현상으로 고용률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모습이다.

15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고용률(15∼64세)은 전년 대비 0.4%포인트 오른 66.1%를 기록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75.8%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고, 여성은 0.5%포인트 오른 56.2%로 나타났다.


다만 남성의 경우 OECD 평균(74.7%) 보다 고용률이 높았지만, 여성은 59.3%인 OECD 평균 보다 3%포인트 이상 낮아 상대적으로 고용사정이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여성 고용률은 OECD 회원국 중에서는 터키(31.2%), 그리스(43.3%), 멕시코(45.1%), 이탈리아(48.1%), 칠레(52%), 스페인(54.3%) 등에 이어 일곱 번째로 낮았다.

관련기사



우리나라 여성 고용률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다른 OECD 회원국 대비 낮은 이유는 출산, 육아 후 재취업이 어려운 고용시장 현실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결혼 전 직장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기혼여성 928만9,000명 중 결혼,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이 있는 여성은 696만명(44%)으로 집계됐다. 경력 단절 사유로는 결혼이 58.5%로 가장 많았고 임신·출산(28.4%), 양육(7.2%)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4월 경력단절여성 복귀창출사업 등을 담은 ‘청년·여성 취업연계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이후에도 정부계약 입찰 평가시 모성보험 우수기업에 가점을 주는 등 대책을 마련했지만, 상황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