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 도심 아파트 3.3㎡당 2,000만원 돌파 눈앞

종로구 사상 첫 평당 1,900만원대 돌파

강북 4개구 2,000만원 근접했거나 넘어서

뉴타운, 재개발 등 주거 인프라 개선 힘입어

최근 서울 도심권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이면서 3.3㎡당 2,000만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1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14일 현재 서울 종로구의 아파트값은 3.3㎡당 1,905만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1,900만원대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강북에서 3.3㎡당 1,900만원선을 넘어선 지역은 4개 구로 늘었다.

지난해 말까지만 하더라도 종로구의 3.3㎡당 아파트 시세는 1,668만원이었다. 하지만 교남동 뉴타운 사업으로 개발된 2,500여가구의 ‘경희궁 자이’가 2월말 입주를 시작하며 시세를 단숨에 끌어올렸다. 경희궁 자이는 전용면적 84㎡ 일부 로열층의 실거래가가 10억원을 넘어서는 등 3.3㎡당 3,000만원대 시대를 열면서 강남권 아파트 수준을 위협하고 있다.


종로구의 가세로 강북 도심권의 3.3㎡ 평균 시세도 2,000만원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서울 용산구의 아파트값은 미군기지 공원화사업과 재개발 사업, 국제업무지구 개발 등의 호재로 3.3㎡당 시세가 2,506만원을 기록하며 강북에서 가장 높다. 강남(3,595만원)·서초구(3,310만원)에 이어 세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역시 강남권 아파트인 송파구(2,487만원)보다 더 높다.

관련기사



최근 마포·성동·종로구 아파트 가격 강세로 도심 아파트 전성시대가 열리고 있다. 마포와 성동구의 아파트값은 지난해 말 기준 나란히 3.3㎡당 1,917만원으로 첫 1,900만원대 대열에 합류한 뒤 올해 4월 현재도 똑같이 1,934만원까지 올랐다. 종로구까지 포함해 도심지역 4곳이 1,900만원을 넘어선 것이다.

올해 1·4분기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도 종로구(1.02%)와 중구(0.74)가 나란히 상승률 1·2위를 기록하며 강남권을 앞질렀다. 서대문구(0.62%), 마포구(0.50%) 등의 상승률도 서울 평균(0.46%)보다 높다.

이 같은 도심 아파트 강세는 뉴타운과 재개발 사업 등이 활발히 진행되며 주거환경 인프라가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희궁자이가 들어선 종로구 돈의문 뉴타운을 비롯해 마포구 아현뉴타운, 성동구 왕십리뉴타운 등 대규모 개발 사업이 등을 통해 고가의 새 아파트들이 줄줄이 들어서며 시세를 끌어올렸다. 도심 광화문, 여의도 등 업무 지역과 가까운 입지여건도 장점으로 꼽힌다.

도심권의 아파트값은 앞으로 계속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성동구의 경우 평균 분양가가 3.3㎡당 3,000만원이 넘었던 성수동 트리마제 주상복합아파트가 다음달 입주를 한다. 또 대림산업은 다음달 뚝섬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 3구역에서 분양가가 3.3㎡당 4,500만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분양에 나서면서 한강변과 뚝섬 서울숲 일대의 주변 아파트 시세를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 마포·서대문구 일대 새 아파트 분양권들도 억대의 웃돈이 형성되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