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정치양극화'



2013년 10월 발생한 ‘셧다운’은 미국에서 중요한 사건이었다. 공화당이 건강보험 개혁법안인 ‘오바마케어’를 반대하며 다음 해 예산안을 거부해 재정 집행이 막힌 연방정부는 잠정 폐쇄 상태에 들어갔다. 빌 클린턴 정부 이후 17년 만이고 21세기 이후 첫 셧다운이기 때문에 미국인들의 충격과 불편은 예상외로 컸다. 16일 동안 진행된 셧다운에서 100만명에 달하는 공무원은 일시 해고됐으며 공원·도서관·면허시험장 등 거의 대부분의 공공기관이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미국식 정치의 덕목인 ‘대화와 타협’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은 원인을 규명하는 작업이 있었다. 결론은 2000년 이후 과도하게 나타난 정치 양극화 현상이었다. 민주당은 진보로, 공화당은 보수 이념으로의 극단적 양극화로 미 의회가 사사건건 갈등과 대결로 치달았으며 결국 셧다운으로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이 기간 전 국민에게 보급 확산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정치 경향의 극단화를 부추긴 것으로 지목됐다.

관련기사



지난해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도 이 연장선상에서 분석됐다. 친구나 지인들이 SNS에 퍼 나르는 당파적 발언이나 가짜 뉴스로 미국인들의 정치적 입장이 일방적으로 치달으면서 결국 첫 ‘아웃사이더’ 대통령까지 배출하게 됐다는 것이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까지 퇴임 인터뷰에서 “잘못된 정보와 거친 음모론이 거부감 없이 확산되는 소셜미디어의 경향성이 유권자 양극화의 촉매가 됐다”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가 최근 “인터넷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던 미국 노년층 사이에서 정치적 양극화가 더 심해졌다”는 스탠퍼드대와 브라운대 공동연구팀의 조사를 인용 보도했다. 신문은 SNS 등이 정치적 양극화에 어느 정도의 역할을 했지만 ‘주범’은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 ‘장미대선’을 불과 20여일 앞둔 우리 사회에서도 SNS 등에 후보를 편향되게 지지하는 주장과 가짜 뉴스가 범람하고 있다. 어쩌면 우리 사회는 양극화로 미국과 전혀 다른 후폭풍과 불편을 경험할지 모르겠다. /온종훈 논설위원

온종훈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