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쩐의 전쟁' 대선자금도 부익부빈익빈

당세·지지율 따라 달라 후원금 달라져

文·安·洪 500억 안팎…劉 는100억 예상

대선후보들의 선거벽보. 왼쪽부터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심상정 정의당 후보, 조원진 새누리당 후보./연합뉴스대선후보들의 선거벽보. 왼쪽부터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심상정 정의당 후보, 조원진 새누리당 후보./연합뉴스




본격적으로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각 후보 측의 자금 상황에도 관심이 쏠린다. 각 후보들은 선거 펀드나 후원금 등을 통해 비용 충당에 열을 올리고 있으나 후보별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하는 추세다. 조직 운영과 광고·홍보 등에서 막대한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자금력도 대선 레이스에 있어 중요한 변수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측은 대선에 들어갈 비용을 470억원 내외로 잡고 선거자금을 마련 중이다. 당비와 국고지원금, 은행융자에 국민의 모금으로 선거자금을 마련하고자 출시한 ‘국민주 문재인 펀드’로 충당할 계획이다. 문 후보 측은 5년 전 대선에서 ‘문재인 펀드’와 같은 형태의 ‘담쟁이 펀드’로 300억원을 모금한 바 있다. 문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만큼 5년 전보다 더 많은 돈이 모일 것으로 예측된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측은 법정한도에 가까운 500억가량을 마련했다. 선거보조금 120억원에 시·도를 담보로 250억원을 대출받았다. 당이 보유하고 있던 재원 130억원까지 더하면 총 500억원에 달한다. 한국당은 지금까지 유세 차량·선거사무원·홍보 포스터 등 법정선거비용에 200억원가량을 지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과 포털사이트에 게재하는 광고비도 80억원가량 투입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측은 창당한 지 1년여밖에 되지 않아 조직과 자금 면에서는 민주당과 한국당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안 후보의 지지율이 올라 자금 융통이 수월한 편이다. 안 후보 측은 대선 비용을 450억원 선으로 잡고 있다. 자금 충당은 86억원의 국고보조금에 후보 개인 후원금을 더하고, 나머지는 은행 대출을 받아 해결하기로 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측은 신생정당인데다 지지율이 높지 않아 선거 비용 보전을 받을 가능성도 불투명하다. 국고보조금 63억원과 후원금, 그리고 후보 개인 재산까지 총동원할 계획이나 총예산은 100억원을 넘기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예산 규모가 다른 정당에 비해 작은 만큼 바른정당 측은 ‘저비용·고효율’ 유세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 당 유니폼을 입은 선거사무원들이 줄지어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자전거 유세단’을 운영해 차로는 다니지 못할 골목까지 누빈다. 친환경 컨셉으로 전기 스쿠터를 소형 유세차로 이용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