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 ‘위안부 강제동원’ 공문서에도 여전히 오리발

하기우다 부장관 “강제연행 직접 기술은 없어”

“위안부 200명, 발리 끌려갔다”, 日 공문서 발견/연합뉴스“위안부 200명, 발리 끌려갔다”, 日 공문서 발견/연합뉴스


일본군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위안부를 인도네시아로 끌고 가 난폭한 수단으로 협박했다는 공문서가 공개된 데 대해 일본 정부는 직접적 증거가 아니라며 ‘오리발’을 내밀고 있다.

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하기우다 고이치 관방 부장관는 ‘태평양 전쟁 재판’ 기록에 대해 “해당 자료가 위안부 모집에 군이 직접 개입했다는 것을 보여주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 정부가 발견한 자료 중 군에 관헌(정부·관청)에 의한 강제연행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기술은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17일 교도통신은 일본의 국립공문서관과 법무성이 일본군이 위안부 강제연행에 개입했다는 것이 드러나는 내용을 포함해 공문서 19건, 182점을 지난 2월 일본 정부 내각관방에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그 중 ‘바타비아(자카르타의 옛 명칭) 재판 25호 사건’ 자료에는 “오쿠야마 부대의 명령에 따라 200명가량의 여성을 위안부로 발리 섬에 데리고 갔다”는 일본 해군의 증언이 담겨 있었다. ‘폰차낙(인도네시아 지명) 재판 13호 사건’의 판결문에도 “다수의 여성이 난폭한 수단으로 위협·강요당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공개 자료에 대한 상세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 있는지 묻자 하기우다 부장관은 “당시의 상황에 관해서는 자료에 기재된 것 이상으로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검증을 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정부가 충분히 검증을 했으나 강제연행임을 보여주는 기술은 발견하지 못했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