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연중기획 Safe Korea] 체험·실천 중심으로...안전문화운동 바뀐다

공공주도 홍보·이벤트성 탈피

가정·학교·직장을 추진 주체로

점검·교육·신고에 포커스 맞춰

안전처, 올 안전문화운동 진행

자발적 참여·예산지원 등 필요

대전 시내 한 어린이집을 방문한 의용소방대 대원들이 아이들에게 안전표지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전=최수문기자대전 시내 한 어린이집을 방문한 의용소방대 대원들이 아이들에게 안전표지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전=최수문기자


# “어두운 밤에는 잘 보이지 않죠, 여러분들이 밝은색 옷을 입으면 훨씬 잘 보여요.”(야간안전) “이 아저씨가 아파요. 가슴을 이렇게 두드려줘야 해요.”(마네킹 활용 심폐소생술) 지난 4일 대전시 의용소방대원들이 안전교육을 위해 어린이집을 찾았다. 집중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동부의용소방대 소속 도미자씨는 “항상 조심하는 태도가 몸에 배게 하기 위해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 지난 2월7일 세종시 종촌중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학교 안전점검에 나섰다. 1·2학년생들이 직접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교내 안전위해 요인을 확인했다. 앞서 전문가들이 교실에 대해 ‘위험성 없음’ 판정을 내렸지만 학생들은 벽면 액자나 스피커가 떨어지거나 바닥이 미끄러워 방해물에 걸려 넘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2학년 김모군은 “안전점검에 참여해보니 예상 가능한 안전사고에 대해 조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어린이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들 행사는 국민안전처가 올해 ‘실천중심 안전문화운동 확산’을 내세워 지방자치단체들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찾아가는 시민안전교육’의 일환이다.


안전문화운동이 바뀌고 있다. 그동안 공공기관 주도 아래 홍보나 이벤트 위주로 진행돼오던 안전문화운동이 현장에서 실천을 통해 체험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안전처는 올해 안전문화운동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제시했다. 추진주체를 일상을 보내는 가정과 학교·직장 등으로 정했다. 또 추진분야는 안전점검·안전교육·안전신고 등 세 가지에 초점을 맞췄다. 생활현장에서 각자가 안전사항을 철저히 점검하고 맞춤형 안전교육을 생애주기별로 진행하도록 한 것이다. 위험에 대한 안전신고와 이에 대한 즉각적인 처리도 염두에 둔 움직임이다. 안전처 관계자는 “안전문화라는 의식이 사회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 기관, 개인이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안전처는 현재 대전시와 울산시에서 벌이고 있는 시범사업의 성과를 분석해 ‘실천하는 안전문화운동’을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은 여전히 많다. 먼저 국민 각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사업 성패의 관건이다. 이순자 대전시의용소방대연합회 부회장은 “각자가 자발적으로 나설 때 우리 사회의 안전이 지켜진다”고 강조했다.

적절한 예산지원도 필요하다. 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14조6,000억원이었던 국가 재난안전예산이 올해는 14조3,000억원에 그치는 등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종구 대전 119시민체험센터 부장은 “지난해 4만2,000명이 (센터에서) 체험을 했다”며 “대전과 인근 지역 인구가 200만명을 웃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시설 규모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대전 119시민체험센터는 대전소방본부에서 운영하는 대전 유일의 재난안전체험시설로 지난 2014년 문을 열었다.

/대전·세종=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